19일 박소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9월 미국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가 이번주 목요일 새벽에 발표되는 가운데 선물시장에서는 기준금리 75bp(1bp=0.01%포인트) 인상 확률을 82%로 반영하고 있다”면서 “이미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의 잭슨홀 발언 이후 어느 정도는 각오된 시나리오라 75bp 인상 자체는 큰 충격이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8월 CPI 발표 후 명백하게 달라진 점이 하나 있다는 지적이다. 박 연구원은 “그것은 더이상 2023년 금리 인하 전망이 컨센서스가 아니게 되었다는 것”이라며 “기준금리 최종 상단도 4.5%까지 상승했고 금리 인하 전망은 미약해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표의 세부 내용이 좋지 않았다”면서 “에너지 가격이 크게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전기 요금은 급등했고, 핵심물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거비(shelter)의 상승세가 매우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주거비(shelter) 항목은 집값보다는 렌트비와 연계되기 때문에 주택 재고동향이 중요한데, 미국은 2008년 서프프라임 붕괴
박 연구원은 “물가가 하향 안정화된다 해도 정책 당국이 만족할 정도로 시원하게 떨어지긴 어려울 것 같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9월부터 긴축(QT) 가속화까지 진행되면서 시장 유동성은 경색 위험에 내몰리고 있다. 아직까지 리보-오버나이트신덱스드스왑(OIS) 스프레드 급등 등 단기금융시장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고 있으나 지난 주 원·달러 환율 스왑포인트가 연중 최저 수준인 -3.3원까지 하락해 달러 조달여건은 여전히 타이트한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박 연구원은 “테일러 준칙(Taylor rule)으로 볼 때 주요국 기준금리는 7~8%까지 올라가야 정상”이라고 말했다. 테일러준칙은 1993년 스탠포드대 테일러 교수가 제안한 적정 기준금리 계산공식으로 2008년 금융위기 이전에는 중앙은행의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황금률로 받아들여졌으나 양적완화와 제로금리가 일상화되면서 사실상 사장(死藏)되는 분위기였다.
박 연구원은 “그러나 테일러 준칙이 다시 부활할 조짐으로 테일러 준칙을 제안한 테일러 교수는 8월 말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연준은 5% 기준 금리를 목표로 해야한다’고 이야기했고, 연준 내에서도 일부 논의가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박 연구원은 “아이러니하게도 연준이 승리의 팡파레를 울리게 되는 전제조건이 경기침체”라며 “그런 의미에서 장단기 스프레드를 잘 봐야 할 것 같다”고 평가했다.
그는 “일반적으로 경기침체 인디케이터로 알려진 것은 미국채 2-10년물 스프레드이지만 예측력이 더 높은 단기물(3개월)과의 스프레드는 지금껏 역전이 없었다”면서도 “최근 3개월-2년물, 3개월-10년물 역전이 임박한 만큼 위험자산에 대해 보수적 관점을 유지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