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21일 발간한 ‘대기업집단의 내수매출 집중도 현황과 정책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경제력집중 억제규제는 지난 1986년 일부 대기업집단의 지배력 확장을 막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지주회사 설립금지 △대규모기업집단 지정 △출자총액제한 등을 골자로 한다.
당시 상위 10개 대기업집단이 전체 제조업 총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977년 21.2%에서 1982년 30.2%로 상승한 것이 규제 도입을 부추겼다.
하지만 한경연은 “국내시장과 무관한 해외매출(수출)이 통계에 포함되면서 내수시장에 대한 대기업집단의 영향력이 과장됐다”고 지적했다.
한경연에 따르면 2013년(33.0%), 2014년(31.4%) 30%대였던 21개 대기업집단(비금융업)의 매출집중도는 2015년(29.6%), 2016년(28.3%)에는 20%대로 하락했다.
특히 상위 10대그룹의 경우 2013년 28.0%에서 2016년 24.3%로, 상위 4대그룹은 같은 기간 19.7%에서 17.0%로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한경연은 “수출을 포함한 해외매출과 내수매출을 구분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대기업집단이 한국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줄어들고 있다”고 강조했다.
|
한경연은 “미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주요 국가들은 담합, 독과점 등 시장경쟁질서를 확립하기 위한 사후규제만을 하고 있다”며 “일부 대기업집단만을 대상으로 사전적인 경제력집중 억제규제를 시행하는 나라는 OECD국가 중 우리나라가 유일하다”고 지적했다.
유환익 한경연 혁신성장실장은 “한국처럼 수출의존도가 높은 개방경제 하에서 경제력집중 억제규제는 어울리지 않는다”며 “한국 1인당 GDP가 3만달러를 넘어선 만큼 경제력집중 억제규제를 재검토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