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뷔페음식점’의 기준이 모호해 대부분 지자체가 프랜차이즈 식당만을 고위험시설로 분류한 가운데 소규모 뷔페형 식당들이 전자출입명부 도입 등 강화된 방역지침 대상에서 제외돼 ‘방역 사각지대’가 나온다는 지적이 나온다.
|
3일 오전 이데일리가 찾은 서울 중구 한 프랜차이즈 뷔페는 고객 입장시 발열 체크와 QR코드를 이용해 전자출입명부를 작성하게 하고 있었다. 이 뷔페 직원은 “음식을 가지러 이동 시 꼭 마스크를 착용해 달라”고 안내하고 있었다. 식당 내부에서도 일회용 장갑과 손소독제가 비치돼 있는 등 방역수칙이 잘 지켜지고 있었다.
또 다른 뷔페는 전자출입명부나 수기명부를 작성한 뒤 입장해야 했지만 식당 내 거리두기는 지켜지지 않았다. 식사를 하거나 음식을 담는 고객들은 대부분 마스크를 쓰지 않거나 내린 채였다. 인근에서 학원을 다닌다는 이모(29)씨는 “원래 점심 시간에 사람이 한 번에 몰려 같이 앉아 식사를 해야 한다”면서 “마스크 없이 식사를 하니 가끔 불안하긴 하다”고 말했다.
뷔페형 기사식당에서도 출입자 명부는 찾아볼 수 없었다. 노원구 한 뷔페형 식당에는 점심 시간이 되자 인근 공사 현장에서 일을 하던 근무자들이 식당을 찾았다. 절반 이상이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채 음식을 담고 있었다. 건설 노동자 최모(53)씨는 “아직 전자출입명부를 작성하는 곳에 가보지 않아 어떻게 하는 건지 잘 모르겠다”면서도 “택시기사, 현장 근무자들이 뷔페를 많이 찾으니 방역 수칙이 잘 지켜지도록 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
현재 고위험시설 지정 대상 뷔페음식점은 ‘뷔페를 전문으로 하는 식당’으로 명시돼 있다. 한식 뷔페 사장 A씨는 “뷔페 식당이긴 하지만 구청에서 알려준 게 없어 고위험시설에 해당되는지 애매한 상황”이라며 “따로 전자출입명부를 도입해야 하는 건지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지자체도 모호한 기준에 난색을 표했다. 한 구청 관계자는 “‘뷔페’의 기준과 범위가 불분명한 상황”이라며 “구 자체적으로 ‘프랜차이즈 뷔페’만을 대상으로 하자는 방침을 정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한식 뷔페, 일반 뷔페 등 뷔페의 범위가 너무 넓기 때문에 (관계 당국에서)지침을 명확히 하는 게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