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정원 한국기업평가 선임연구원은 16일 ‘3사3색 통신사별 수익성 관전 포인트’ 보고서에서 통신사 수익성의 핵심 요소로 △규모의 경제를 통한 비용 커버리지 정도, △인력 운영의 효율성, △시장 내 마케팅 경쟁 강도 등 세 가지를 꼽으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통신산업이 대표적 장치산업으로 설비에 대규모 자본을 지속적으로 투입해야 하는 만큼 규모의 경제를 확보해 수익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봤다. 또한 ‘통신’이라는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업 특성도 있어 인건비가 많이 들고 마케팅비용도 부담이 크다.
한기평은 지금 이동통신시장 절반을 차지하는 SK텔레콤의 경우 규모의 경제가 가능한 가입자 기반을 확보했다고 판단했다. 문제는 과열되는 마케팅이다.
KT의 수익성 개선은 과중한 인력 부담에 따른 높은 고정비를 얼마나 줄일 수 있을지에 달렸다는 게 한기평 설명이다. 지난해 말 KT의 계약직 포함 직원 수는 3만2451명으로 SK텔레콤 4192명, LG유플러스 6780명에 비해 방대하다. 이렇다 보니 매출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14.3%로 SK텔레콤 4.9%, LG유플러스 6.2% 대비 가장 높다.
엄 연구원은 “유선전화부문의 매출 감소가 계속되면서 인건비 부담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면서도 “지난달 대규모 명예퇴직을 실시하고 통신업 집중화 전략을 시행하면서 중장기적으로 수익성 개선에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엄 연구원은 “요금 인하 압력, 가입자 유치경쟁 심화 등이 부담되지만 LTE가 보급되면서 가입자당 월 평균 매출(ARPU)이 성장하고 있어 영업레버리지 완화에 긍정적”이라며 “지난해 말 LTE 침투율이 50%로 앞으로 LTE 전환 여력이 충분해 통신업계 전체적으로 외형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
▶ 관련기사 ◀
☞[주간추천주]신한금융투자
☞[특징주]영업재개 앞둔 SKT, 홀로 오름세
☞[퍼니지먼트]직원 대다수가 메달리스트인 회사(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