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부동산 보유세 강화다. 두 번째는 3기 신도시 추진이다. 세 번째는 공공주택 10만 가구 공급이다. 여당의 압승으로 추진력을 얻은 세 가지 정책의 궁극적 목적은 서울과 수도권의 아파트 값 안정이다. 문 정부 들어 급등한 서울과 수도권의 아파트 가격을 떨어뜨리는 게 급선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부가 총선 결과로 상수가 된 부동산 관련 정책에서 크게 놓치고 있는 부분이 있다. 바로 지난 1월 하순 중국 우한에서 발병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팬데믹 상황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세 가지 정책 모두 지난해와 올해 초 코로나19의 위협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았던 때 만들어진 것들이다.
경기 악화에…부동산 대실패 부를 수도
즉 코로나19에 따른 경제위기를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상황에서 서울 수도권 아파트값 안정에만 초점을 맞췄던 정부와 여당의 부동산 정책은 자칫 ‘한 푼 아끼고 열냥 잃는다’는 속담처럼 될 수도 있다. 서울과 수도권의 아파트값 안정도 실물경제의 순환과 흐름이 원활할 때나 의미가 있다. 코로나19로 전 세계적인 경제 시스템이 붕괴하고 기업 파산과 대량 실업의 ‘대공황’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정부 부동산 정책의 기조가 계속 서울·수도권 아파트값 잡기에만 매달리면 잔불 잡으려다 큰불 날 수 있다.
알려진 대로 미국은 1930년대 대공황을 국가가 주도한 ‘뉴딜프로젝트’로 극복했다. 뉴딜프로젝트의 핵심은 각종 건설사업을 통한 내수경기 활성화와 고용 창출이었다. 이를 통해 기업의 도산을 막고 일자리를지켰다. 따라서 정부와 여당도 코로나19로 달라진 경제 상황에 맞게 부동산 정책을 새롭게 제시해야 한다. 현 상황에서 ‘집값’에만 초점을 맞추기보다 건설과 맞물린 부동산 정책을 통해 경기 침체를 방어하고 극복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여러 건설사업 중 주택건설이 고용창출과 내수경기 순환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정부와 여당은 이런 현실을 인정하고 한국 경제라는 큰 그림에서 부동산 정책의 방향성을 제고해야 한다. 예상치 못한 사고로 심장 박동이 약해지는 응급환자에게 당장 필요한 건 찰과상을 입은 손가락 치료가 아니라 심폐소생이다. 심장이 뛰지 않으면 나은 손가락은 의미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