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무부는 이날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태평양 역내 관여를 최우선 정책과제로 추진하고 있다”며 “미국의 목표는 수 세대 동안 역내 평화와 번영을 보장해왔고 35개국에 있는 수억 인구들과 공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이 인도·태평양 관련 보고서를 낸 건 지난 6월 국방부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마이크 폼페이오(사진) 국무장관은 보고서 인사말에서 “1.9조 달러 규모의 양자 교역으로 우리의 미래는 불가분의 관계”라며 “미국과 우리의 동맹국, 파트너들은 자유롭고 개방된 지역의 질서를 보호하는 데 최전선에 있으며 모든 국가는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을 뒷받침하는 규칙과 가치를 유지하기 위한 공동 책임을 진다”고 설명했다. 국무부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미국이 가치를 공유하는 대표적인 인도·태평양 국가들을 언급하면서 한국을 호주·일본에 이어 세 번째로 언급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은 “미국의 자동차 산업 일자리를 보호하고 미국의 수출을 증대하며 부담되는 규제를 없애기 위한 것”이라고 썼다. RCEP에서 빠진 인도는 미국의 전략적파트너십이라는 표현했다.
아세안 10개국과 한국·중국·일본·호주 등 16개국이 참여하는 RCEP은 2012년 동아시아 정상회의에서 협상을 개시, 올해까지 28차례 공식협상과 16차례 장관회의, 3차례 정상회의를 거친 후 최종 타결됐다. 전 세계 인구의 절반(36억명), 세계 총생산량 3분의 1(27조4000억 달러)에 해당하는 아·태 지역 메가 FTA에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미국이 트럼프 행정부 들어 TPP에서 스스로 탈퇴한 점, 트럼프 대통령이 아세안+미국 정상회의에 2년 연속 불참한 점 등 미국의 ‘미 우선주의’.‘신(新)고립주의’ 등이 스스로 이 지역에서의 주도권을 중국에 내줬다는 지적도 만만찮다. 트럼프 행정부는 ‘다자 간 FTA’가 미국에 불리하다고 판단, ‘양자 FTA’를 강화하는 노선으로 정책 방향을 수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