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임원 감축 등 구조조정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조직 내부에서 이를 경계하는 목소리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윤 회장의 조직개편의 핵심은 전국 1155개 지점을 상권별로 나눠 그룹화하고, 그룹내 지점장 중 수석 지점장을 소그룹의 장으로 두는 방식으로 영업점을 재편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그룹장을 중심으로 상권 특성에 맞게 영업목표가 정해지게 되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포석이 깔려 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5~10개의 지점을 묶어 그룹화하고 이들 지점장 중 한 명을 뽑아 그룹장(일명 지역본부장)으로 두지만 그룹장과 개별 지점장의 관계 역시 파트너십 관계를 유지할 수 있어 영업점별로 자율성과 유연성을 확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국민은행이 지난 7월부터 시범 운영하고 있는 허브앤스포크(Hub and Spoke) 형태의 영업점은 제한적으로 운영될 방침이다. 허브앤스포크는 허브지점(소그룹장)을 중심으로 5~6개 점포가 자전거축(Hub)와 바퀴살(Spoke)처럼 운영되는데 기업금융이 중심이 되는 곳이라면 대규모 기업 여신은 허브지점에서 하되, 나머지 스포크 지점이 각각 SOHO대출, 가계대출, WM, 외환업무 등으로 특화된 영업을 하는 형태다. 구월동종합금융센터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방식은 각 지점마다 역할이 분명해 책임감을 높일 수 있는 반면 유연성이 떨어진단 단점이 있다. 반면 여러 지점을 소그룹화해 그룹 단위로 영업목표를 자율적으로 정해 운영하는 것은 영업의 유연성이 강화될 수 있어 이를 확대하는 것이 더 낫다고 판단했다.
실제로 국민은행의 적자(세전손실) 점포 수는 6월말 현재 PB센터를 포함해 162개로 전체 점포 수(6월말 현재 1147개)의 14.1%에 달한다. 신한·KEB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적자점포 비중이 평균 5.5%이라는점을 감안하면 2∼3배에 달하는 셈이다.
인사평가 틀도 ‘그룹’단위로..임원 축소 등 인사태풍 불가피
문제는 이러한 영업점 개편이 현재의 지역본부장, 즉 임원 자리의 축소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기존 33명의 지역본부장이 20∼30명으로 줄어들 수밖에 없어 인사적체 현상이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여기에 직원들에 대한 성과평가 체계도 전면 개편된다는 점에서 관심을 모은다. 기존엔 개별 영업점 단위로 경영평가(KPI)가 적용됐으나 이제는 그룹 단위로 적용된다. 최소한 개별 지점끼리의 내부 경쟁은 사라질 수 있다는 얘기다. 특히 영업점간 실적 마찰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더블카운팅’ 제도가 도입된다. 예컨대 서울의 A지점장이 자신의 인적 네트워크을 통해 부산에 있는 한 중소기업을 고객으로 유치하려 할 경우 부산 B지점에 이 고객을 소개하면 이에 대한 실적을 A, B 지점 양쪽에서 모두 갖게 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영업점 재편과 희망퇴직, 자가진단서비스 등의 개인 평가 강화가 맞물릴 경우 조직내 생산성은 높아지겠지만 조직원들의 업무강도는 높아질 전망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직원들 스스로 본인의 업무역량에 대한 평가를 객관화하는 것이 어느 조직이든 필요한 일”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