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전문가들은 수급 불확실성 해소라는 측면에선 긍정적이지만 거품이 시한폭탄이 터질 시점만 늦춰졌을 뿐 장기적인 관점에서 증시에 부정적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위원회가 오는 9월 15일 종료예정이었던 공매도 금지기한을 내년 3월 15일까지로 추가 연장하자 투자자별로 엇갈린 반응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특히 외국인 비중이 59%(2019년 기준) 높다 보니 외국인의 발 빼기가 가장 먼저 감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도 “글로벌 벤치마크 지수 산정 기준 중 시장 규제, 거래, 대주 등 운용체제의 효율성 부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며 “공매도 금지가 길게 보면 득보다 실이 클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공매도 금지기한 연장이 증시에 당장 큰 영향으로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이미 국회에서 공매도 금지 법안이 발의되는 등 시장에서도 공매도 금지 연장으로 분위기가 충분히 조성됐기 때문이다.
김민규 KB증권 연구원은 “이미 공매도가 금지된 지 상당시간 지나 공매도만을 위해 대기하고 있던 대차잔고의 경우 많은 부분 상환됐을 가능성이 높은 만큼 주가지수의 방향성을 공매도와 연결 짓기보다 종목관점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관심 종목으로 공매도가 활발했던 종목 중 공매도 금지 후 숏커버와 수익률의 상관성이 명확했고, 최근 업종대비 수익률이 부진한 종목을 볼 필요가 있다”며 “이러한 종목은 숏커버의 수혜를 봤으나 9월 공매도 재개를 앞두고 다시 공매도 수요가 몰릴 수 있다는 이유로 소외당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