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의 인력 구조조정이 가시화 되면 눈치를 보던 기타 유통 기업들도 인력 줄이기에 본격 돌입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인력 감축 쓰나미를 맞지 않도록 지금부터 준비해야 한다는 의견들도 나온다.
|
롯데마트, 실버 사원 퇴사 조치… 하이마트는 희망 퇴직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롯데마트는 지난달 31일 만 55세 이상 계약직 실버사원 전체 38명 중 36명에 대한 계약을 종료했다. 나머지 2명도 계약기간이 끝나는 대로 재계약 없이 퇴사 조치할 예정이다. 애초 70세까지 고용할 방침이었지만 코로나19 사태 등으로 유통업계가 직격탄을 맞으며 재계약이 어려워졌다는 게 롯데마트 측의 설명이다.
롯데쇼핑 계열사인 롯데하이마트는 지난달 현장직 직원 80여 명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에 들어갔다. 롯데하이마트가 희망 퇴직을 실시하는 것은 창사 이래 처음이다. 롯데하이마트는 올해 매출이 부진한 오프라인 매장 11개를 폐점하고 21개 매장은 통폐합해 수익성을 개선하겠다는 계획을 세운 상태라 향후 인력 구조조정 규모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향후 롯데쇼핑이 구조조정을 본격화하면 국내 인력 시장에 가져올 파장은 상당할 것이란 전망이다. 롯데쇼핑은 올해 초 향후 3~5년 이내 오프라인 점포 700개 중 200개를 줄인다는 대규모 구조조정 계획안을 발표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인력 감축이 어려운 노동 환경상 점포 폐쇄라는 강수를 둔 것이라 설명했다.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기업 구조조정에서 가장 손대기 쉬운 것이 인력 구조조정인데 우리나라는 노동법이 강해 인력 감축이 어렵다”면서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인력 감축 효과를 볼 수 있는 점포 폐쇄 형태로 구조조정이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고 짚었다.
|
유니클로를 운영하는 에프알엘코리아도 인력 구조조정으로 구설수에 올랐다. 에프알엘코리아는 롯데쇼핑과 일본 패스트리테일링이 각각 49%, 51%씩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합작사다. 지난 6일 배우진 에프알엘코리아 대표는 인원 구조조정을 계획대로 추진하겠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전자 메일을 전사 직원에게 발송해 물의를 빚었다.
실제로 국내 패션업계는 날 선 칼바람을 맞고 있다. 학생복 업체 형지엘리트는 최근 본사 정직원을 일부 감축했고 신원은 해외사업부 소속팀을 축소하며 7명을 내보냈다. 지오지아, 탑텐 등 브랜드로 유명한 신성통상은 수출본부 직원 중 10%가량을 권고사직 처리하면서 직원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유니클로 측은 “해당 이메일은 구조개혁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논의하는 과정에서 배 대표의 개인적인 실수로 메일이 잘못 발신된 것”이라면서 “현재로서는 검토하고 있는 인력 구조조정 계획이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다만 한일 무역분쟁에 따른 불매운동으로 실적이 악화한 상황에서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인력 감축이 불가피할 것이란 의견이 우세한 상황이다.
|
롯데호텔은 이달부터 신청자에 한해 유급 휴직을 실시하고 있다. 롯데호텔 측은 이달 말까지 상황을 지켜본 뒤 유급 휴직 유지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
업계 1위 롯데 구조조정, 유통가 인력 감축 트리거 될 수도
롯데그룹이 실버 사원 퇴사조치, 희망퇴직, 무급 휴직 등 유휴 인력 해소를 위한 작업에 들어가자 업계에서도 이 같은 움직임에 동참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업계 1위인 롯데그룹의 대응을 답습하면 비교적 여론의 압박에서 자유로울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몇몇 기업들은 롯데그룹의 대응에 따라 움직이고 있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지난달 30일 희망 직원을 대상으로 유급 휴직을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롯데호텔이 지난달 18일 유급 휴직 신청을 받기로 한 뒤 같은 조치를 뒤따라 취한 것이다. 신라면세점 김포공항점 역시 롯데면세점 김포공항점이 문을 닫은 뒤에야 휴점에 들어갔다.
이런 상황에서 업계 1위인 롯데그룹이 본격적으로 인력 구조조정 작업에 착수한다면 다른 유통사들도 뒤따라 인력 감축에 나설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노동 시장에 본격적으로 충격이 가해지기 전에 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조언이 나오는 이유다.
황 교수는 “인력 감축 대상은 대부분 경력이 필요하지 않은 단순노무직이기 때문에 순환 보직 등을 통해 그들의 일자리를 마련하는 방안은 대안이 될 수 없다”면서 “기업들에 대응을 일임할 것이 아니라 정부가 이들을 위한 재교육 및 지원 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