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이 10일 발표한 ‘우리나라 재정수지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현 정부는 낙관적 전망에 기초해 중장기 재정운용계획을 수립하고 재정적자에 따른 부담을 다음 정부로 미루고 있다”며 “이 때문에 미래의 젊은 세대는 고령인구를 부양해야 할 뿐만 아니라 과거 세대의 국가채무까지 떠안아야 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특히 ‘재정적자누적→국가채무증가→이자부담증가→재정적자확대’의 악순환 구조가 형성될 경우, 한국경제의 재정위기 가능성은 물론 미래 세대의 세 부담도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재정수지 특성을 재정수입 측면에서 살펴보면, 경제성장이 둔화되면서 국세수입 증가세도 약화되고 있다. 명목국내총생산(GDP)이 1%포인트 하락하면 국세수입은 약 2조3000억원(1.072%포인트)이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됐다. 글로벌 외환위기 이후 3.8%까지 떨어졌던 경제성장률이 올해는 2%대에 머물 전망이다.
비과세·감면도 국세수입을 줄이고 있다. 세금을 깎아주는 조세지출이 2000~2013년 연 7.1% 증가해 13조3000억원에서 30조1000억원으로 늘었다. 2014년에도 4조8000억원의 세수확충을 계획했으나, 이해관계자의 반발 등으로 4578억원에 그쳤다.
이러한 상황에서 성장잠재력 확충 및 경기침체 대응을 위한 재정지출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의무지출 증가율이 2007~2012년 연 8.3% 증가하는 등 탄력적인 재정운용이 어려워졌다.
하지만 정부는 2013년 23조4000억원에 이어 2014년에도 25조9000억원에 달하는 적자재정을 편성했으며, 2017년까지 재정적자가 지속될 것이라고 지난 9월 발표했다.
이 연구위원은 이를 해결하려면 정부의 균형재정 달성을 위한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는 세금과 복지에 대해 ‘저세금-저복지’로 갈 것인지, ‘고세금-고복지’로 갈 것인지 국가 차원의 비전을 제시하고, 외부에 흔들리지 않는 ‘국민대타협위원회’ 설치·운영을 통해 국민적 합의를 얻어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비과세·감면을 대폭 정비하되 정책목적상 꼭 필요한 경우에만 재정지출로 전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의무지출을 새로 도입할 때 이에 상응하는 세입대책이나 다른 의무지출 축소방안을 강제하는 페이고(Paygo) 원칙을 법제화해 의무지출 증가폭을 줄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위원은 “재정정책에서 성장잠재력 확충 및 복지확대를 균형 있게 운용하는 것은 기본이며, 재정적자 및 국가채무의 허용치를 규정한 재정준칙을 법제화해 정부가 임기 내에 재정균형을 달성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