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위기설`이 시장에서 확산되던 때 한국 경제가 위기에 빠질 가능성이 낮다는 논거로 제시된 말이다. 부동산 가격거품을 잡기 위한 정책 수단이 이미 잘 갖춰있기 때문에 미국의 서브프라임 사태가 한국에서 발생할 가능성은 적다는 의미다.
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제한 등 주택담보대출 규제가 부동산 경기를 위축시킨다는 원망이 높았지만, 역설적으로 그덕에 안정적인 거시 경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었음을 보여주는 셈이다.
정부가 사실상 종합부동산세 해체 작업에 돌입했다. 종합부동산세 과세 기준을 종전 6억원에서 9억원으로 상향하고, 세율을 낮추는 등의 법안 개정에 나선 것이다. 이와 동시에 부동산 투기 억제의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던LTV-DTI 규제 완화도 검토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이런 움직임은 채권시장과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다만, 최근 시장 분위기가 경제 펀더멘털보다는 심리적 불안감 등에 영향을 받아 움직인다는 점에서는 한 번 흘겨볼만한 내용은 될 듯 싶다. 현재의 신용경색 국면이 지나간다고 하더라도, 그 다음에 어떤 변수가 나올지를 가늠해본다는 차원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이 정부가 들어서고 손 대는 것마다 다 망가지지 않았냐..."
어제 금융시장 안정화를 위해 관계 장관들이 모여 내놓은 대책은 시장의 인식과는 한참 거리가 있었다는 평가다. 나온 대책이라는 건 키코 손실 등으로 일부 중소기업이 도산될 조짐이 보이는 데 따른 조치가 전부였다. 시장이 무엇을 고민하고 있는지 잘 모르고 있다는 인상을 주기 충분했다. 당분간 불안한 심리를 회복시킬 근거를 찾기가 어려워 보인다.
(이 기사는 24일 오전 8시15분 이데일리 유료 서비스인 `마켓 프리미엄`에 출고된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