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장치·소품…배경 넘어 '신의 한수'로

연출의도·메시지전달 은유적 장치
'문제적 인간 연산' 500여개 대나무
위태로운 연산 심경 나타내
'팬텀' 29개 가면 사용…감정 따라 바뀌어
'데스노트' 회당 2개씩 114개 사과 소비
  • 등록 2015-07-13 오전 7:57:25

    수정 2015-07-28 오후 8:06:10

연극 ‘문제적 인간 연산’ 무대 위를 500여개의 대나무가 둘러싸고 있다. 폐허가 된 궁궐을 상징하는 대나무숲은 높이 10~12m로 약 18도 경사진 투명 아크릴 바닥과 함께 위태로운 연산군의 심경과 혼란스러운 시대적 배경을 그려냈다(사진=국립극단).


[이데일리 김미경 기자] 1. 서울 중구 명동예술극장. 연극 ‘문제적 인간 연산’의 무대 위엔 500여개의 대나무가 빼곡히 둘러쳐져 있었다. 폐허가 된 궁궐을 상징하는 대나무숲의 실제 높이는 10~12m. 약 18도 경사진 투명 아크릴 바닥과 함께 위태로운 연산군의 심경과 혼란스러운 시대를 표현하고 있다. 이태섭 무대디자이너가 만든 이 장치는 이윤택 연출 연극의 특징인 제의적이고 연희적인 요소를 세련되게 끌어내는 데 성공했다.

2. 뮤지컬 ‘데스노트’ 무대. 사신(死神) 류크는 사과를 먹는다. 회당 2개씩 매일 먹는 사과는 공연 전 극장 근처 마트에서 구입한다. 총 공연 57회에 114개, 12개들이 박스로 치면 9박스하고도 반 상자의 사과를 먹어치우는 셈이다. 극에서 사과는 인간 세상의 시작이자 성경 속의 선과 악, 인간계를 지배하는 중력을 뜻하는 은유적 장치다.

무대장치와 소품이 ‘또 하나의 배우’가 되고 있다. 극중 세트나 소품이 갈수록 정교해지다 보니 무대장치는 이제 배경을 넘어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는 ‘신의 한수’가 되기도 한다. 이태섭 무대 디자이너는 “무대디자인이 더이상 극의 배경을 만드는 데 그치지 않는다. 극의 상황과 인물을 현실화하는 작업”이라며 “분위기와 메시지, 인물의 심리상태, 연출 의도를 쉽게 전달하는 장치인 만큼 전체 제작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고 귀띔했다.

뮤지컬 ‘데스노트’에서 사신 류크(오른쪽)가 손에 사과를 들고 있다(사진=씨제스컬쳐).


△실감나는 무대…“관극의 차 줄여”

지난 5월 공연한 연극 ‘리어왕’에서는 2t의 물 폭탄이 쏟아졌고, 연극 ‘페리클레스’에서는 50t의 모래가 뒤덮기도 했다. 12년 만에 앙코르공연 중인 이윤택 작·연출의 연극 ‘문제적 인간 연산’(7월 26일까지 명동예술극장)에는 대나무숲이 무대를 채우고 있다. 1995년 초연 때는 궁을 지어 사실적 무대를 재현했다면 이번엔 길고 얇은 대나무와 통나무 골조를 세우고 바닥엔 투명 아크릴 바닥을 깔아 연산군의 난폭과 유약의 이중성을 드러낸다. 대나무는 진천에서 공수해왔다. 2~4m의 대나무를 엮어 곧게 솟은 대나무숲을 만드는 작업을 했다. 이윤택 연출은 “해체적이고 상징적인 무대를 의도했다”며 “조명을 이용해 현실과 환상, 이승과 저승을 묘사해 현재 얘기를 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오는 14일 초연하는 연극 ‘카포네 트릴로지’(9월 9일까지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소극장)는 실험적 무대를 준비 중이다. 각각 1923년 1934년 1943년의 시간 차를 두고 한 장소에서 벌어지는 3개 사건을 옴니버스로 그려낸 작품. 배경은 시카고 렉싱턴호텔의 비좁은 방 661호다. 무대와 객석 사이는 불과 50cm. 연출을 맡은 김태형 연출은 “관객이 관람을 넘어 극한의 경험을 하는 무대를 고민해 왔다”며 “관객은 실제 호텔방에 갇힌 듯한 착각을 하는 동시에 사건을 목격한 당사자로 몰입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뮤지컬 ‘아리랑’(9월 5일까지 LG아트센터)은 30여개의 장면 전환에 LED 스크린의 도움을 받는다. 박동우 무대 디자이너는 “소설 속 배경이 한반도를 넘어서 만주, 하와이 등으로 이동하는 데다 40년에 걸쳐 있다”며 “구체적로 설명하지 않고 분위기와 질감 등으로 시공을 함축했다”고 설명했다.

무대와 객석 사이가 50cm에 불과한 연극 ‘카포네 트릴로지’의 실험적인 무대 도면(사진=스토리피).


△고증·분석 거쳐 세밀히제작한 ‘소품의 힘’

소품은 작품 속 ‘판도라의 상자’다. 관객에 잘 보이지 않는다고 대충 만들었을 거란 생각은 오산. 시대 고증과 분석을 통해 꼼꼼하게 만들어낸다.

뮤지컬 팬텀(7월 26일까지 충무아트홀 대극장)에서 빼놓을 수 없는 건 ‘가면’. 주인공 팬텀이 쓰고 나오는 가면은 총 7종. 감정선에 따라 수시로 바뀐다. 배우 류정한·박효신·카이 등 3명이 번갈아 연기하는 만큼 소품보관함에는 여분까지 포함해 총 29개의 가면이 들어 있다. 자신을 신격화한 ‘날개가면’부터 극도의 분노를 드러내는 ‘분노가면’, 슬픔과 죄책감을 느낄 때 쓰는 ‘눈물가면’ 등이 있다. 제작사 EMK 측은 “주인공 3명의 얼굴사이즈와 굴곡에 맞게 각각 7종의 가면을 제작했다”며 “각 가면은 극중 팬텀의 다양한 감정선을 좇는다”고 말했다. ‘팬텀’의 또 다른 대표소품은 폭 3m, 무게 180kg의 초대형 샹들리에. 극중 천장에서 떨어지는 샹들리에는 여주인공의 무너진 꿈을 상징한다.

뮤지컬 ‘팬텀’의 보석가면. 오페라극장의 상징인 샹들리에의 화려함을 담고 있다(사진=EMK뮤지컬컴퍼니).


뮤지컬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9월 13일까지 샤롯데씨어터)는 오히려 단출하게 무대를 꾸민 경우다. 이지나 연출은 “인류가 멸망한 후 다시 새 인류가 시작된다고 해도 결국 인간의 갈등, 신에 대한 문제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란 생각에 아무것도 없는 모래사막을 배경으로 했다”고 귀띔했다.

공연계 한 평론가는 “요즘 관객은 직접 체험하거나 눈으로 확인하는 걸 좋아한다”며 “적절한 무대장치와 소품이 몰입을 돕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늘 성공하는 건 아니란다. 이 평론가는 “뮤지컬 ‘체스’(19일까지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의 경우 흑백이 교차하는 체스판을 연상케 하는 무대와 소품을 연출했으나 정작 극의 내용과 배우연기가 이를 받쳐주질 못해 그저 장식품이 돼버린 경우”라며 “극의 완성은 결국 무대·배우·스태프의 합”이라고 강조했다.

뮤지컬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의 한 장면. 시공간을 초월한 배경 설정을 위해 소품 없이 무대를 모래사막으로 단출하게 꾸몄다(사진=클립서비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시선집중 ♡.♡
  • 몸짱 싼타와 함께 ♡~
  • 노천탕 즐기는 '이 녀석'
  • 대왕고래 시추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