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세창 한미약품 대표는 국내 제약업계와 마찬가지로 한미약품 또한 향후 5년이 글로벌 기업으로 자리매김할지 여부를 판가름하는 중차대한 시기라고 전망했다.
한미약품은 120여년 국내 제약업 역사상 최초로 지난 2015년 신약기술 수출로만 조단위 매출을 거두면서 국내 제약산업 수준을 한단계 끌어올린 주역으로 평가받는다.
“최근 코오롱의 인보사 사태 등 제약·바이오 분야에서 좋지 않은 소식들이 전해진다. 이러한 과정은 제약·바이오 업계에 대한 옥석가리기, 제약산업의 특성 및 신약개발의 어려움등에 대한 세간의 인식전환등을 가져오는 계기가 될것이다.”
권 대표는 제약사 스스로도 준법경영을 더욱 가다듬고 주주등 회사외부에서도 중장기적 관점에서 파이프라인의 가치를 면밀히 판단해 투자를 결정하는 문화가 정착해야 한국의 제약·바이오 산업이 더욱 탄탄해질 것이라고 판단했다.
“한미약품은 자체 개발한 제품을 토대로 이익을 창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신약에 집중투자하는 ‘한국형 연구개발(R&D)’ 모델을 조기에 구축했다. 모든 분야를 망라하는 신약개발보다는 한미가 잘 할 수 있는 비만과 당뇨 등 대사질환, 항암, 희귀질환 분야에 집중해 파이프라인을 지속 확장하는 전략을 펴왔다.”
그는 신약개발 경쟁력에서 국내 제약업계에서 가장 앞서가는 한미약품의 비결로 ‘선순환 구조 정착’과 ‘선택과 집중’ 전략을 첫손에 꼽았다. 그는 이어 “다양한 영역으로 접목, 확장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을 통해 한미만의 경쟁력을 갖춰 나가고 있다”며 “사노피, 얀센, 스펙트럼에 라이선스 아웃한 바이오신약들이 한미가 자체 개발한 플랫폼 기술 ‘랩스커버리’가 적용된 대표적 신약들이다”고 소개했다.
|
한미약품의 파이프라인 가운데 대표적인 1주 투여 제형의 당뇨치료제는 사노피가 글로벌 임상3상을 진행 중이어서 상품화를 눈앞에 두고있다. 글로벌 3상을 마친 호중구감소증 치료제 롤론티스는 조만간 미국식품의약국(FDA)에 허가를 신청할 계획이다.
“냉철한 시각으로 잘할 수 있는 분야와 그렇지 못한 영역을 구분하고, 선택과 집중에 대한 빠른 의사결정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창조와 도전, 혁신을 장려하는 기업 문화, 실패를 기회로 여기는 포용적 조직 문화가 필요하다.”
◇권세창 대표는
▲1988년 연세대 생화학과 학 ·석사 ▲2009년 서울대 동물자원과학과 박사 ▲1996년 한미약품 연구센터 연구위원 ▲2012년 한미약품 연구센터 소장 ▲2016년 한미약품 부사장 ▲2018년 대표이사 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