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문재인 대통령이 내세워 온 ‘한반도 신(新)경제지도’ 구상의 일환으로, 남북이 특구 운영에 함께 참여함으로써 공동 번영을 이루자는 뜻이다. 개성공단과 마찬가지로 노동력은 북측에서, 시설은 남측에서 제공하게 될 것이다. 군사분계선 접경 지역에 세워지는 것이므로 부지를 마련하는 작업도 그렇게 어렵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북한의 비핵화 단계에 맞춰 개성공단이 재가동되면 해주까지 포함하는 범위에 산업단지와 복합도시가 개발될 것이라 하니, 더욱 기대할 만하다.
하지만 경제특구를 새로 설치하는 과정이 생각처럼 쉽지만은 않을 것이다. 특구가 대규모로 조성될 경우 거기서 나오는 제품들이 제대로 판로를 찾을 수 있는지부터 따져봐야 한다. 개성공단 입주업체들이 벌써부터 반발 움직임을 보이는 것이 그런 경계심 때문이다. 특구 설정을 구실로 무분별한 개발이 이뤄지는 것도 막아야 한다. 이미 DMZ 부근 땅값이 치솟고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남북 화해가 실현될 경우 앞으로 DMZ 일대에 세워질 이산가족 상봉시설이나 통일스포츠센터 등 여러 시설들과의 균형도 미리 맞춰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