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시중은행 채권 운용역은 “여전히 실수요 기반이 약한데다 시장 조성도 쉽지 않아 보인다”며 “보험사들의 참여가 기대치 대비 저조한 만큼 실질적인 시장 조성에 대한 당근책도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짚었다.
시장 포지션 격인 미결제약정도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 미결제약정이란 결제가 체결되지 않은 미체결 파생상품 계약수로 시장 참여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포지션을 말한다. 즉 미결제약정 증가가 둔화된다는 것은 시장으로의 지속적인 자금 유입 증가세가 줄어든다는 의미다.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지난달 19일 이후 30년 국채선물의 미결제약정 수는 40계약에서 이날 524계약으로 꾸준히 늘어났으나 증가세는 둔화됐다. 지난 20~22일 100계약씩 늘어나던 것과 달리 이날은 99계약, 전날에는 53계약 증가에 그치면서 증가세가 재차 둔화되는 모습이다.
그는 “채권 선도거래를 하면 선물 거래와는 달리 손익계정에 반영이 안 되고 자본계정에 반영되기 때문에 가격 변동에 따른 부담이 적은데 반해 선물은 거래가 적으니 변동성도 크고 선물 만기가 오면 롤오버도 해야하는 부담이 있다”고 덧붙였다.
증권사 역시 채권 선도거래를 위한 헷지는 현물 매수로 이루어지는 만큼 30년 국채선물 수요가 없다는 설명이다. 한 증권사 채권 딜러는 “선도거래 주문을 받으면 현물 보유로 헷지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선물 매매 유인은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나아가 시장 유동성이 적다 보니 가격 발견 기능도 약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외국계 은행 딜러는 “지금도 현물의 가격이 일원 단위로 붙어 있는데 반해 30년 국채선물의 호가창 가격 분포는 촘촘하지 못한 게 사실”이라면서 “이렇다보니 차라리 현물을 거래하는 게 편하다”고 토로했다.
앞선 시중은행 채권 운용역은 “과거 10년 국채선물도 자리잡을 당시 PD(국고채전문딜러)들에게 가산점을 준 적이 있다”면서 “정부 당국의 당근책 없이는 힘들 것”이라고 짚었다.
정부는 아직까지 추가 당근책을 내놓기는 시기상조라는 입장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과거 10년 국채선물도 자리잡는데 1년이 걸렸는데, 뭔가 트리거가 필요하다고 하면 PD 의무 부여 등을 할 수는 있지만 아직은 이른 것 같다”면서 “시장 참여자들과 긴밀하게 소통 중이고 아직 한 달이 된 만큼 시장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도 “아직 한 달 조금 지난 초기이고 지난 19일 이후부턴 보험도 참여하고 있고 외국인도 들어오는 만큼 지켜보고 있다”며 모니터링 단계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