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만난 한 건설업계 관계자가 정부의 아파트 집단대출 규제를 두고 내뱉은 하소연이다. 집단대출 받기가 어려워진 만큼 분양 계약을 포기하는 이들이 많아 사업을 아예 접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집단대출은 분양아파트나 재개발·재건축 아파트 입주 예정자에게 집단적으로 중도금이나 잔금 등을 대출해주는 제도다. 가계 부채가 1344조원에 이르자 정부는 집단대출에 규제의 칼날을 들이댔다. 지난 2월 기준 6대 은행의 집단대출 잔액은 111조2075억원으로 전월(111조7289억원)보다 5000억원 가량 줄었다.
건설업계는 정부의 집단대출 규제에 의구심을 품고 있다. 집단대출 규모는 108조원으로 1344조원에 이르는 가계부채에서 10%도 되지 않는다. 지난해 8월 기준 집단대출 연체율은 0.38%로 가계 신용대출의 연체율 0.57%보다 훨씬 낮다. 가계대출 숫자를 관리하기 위해 비교적 관리하기 편한 집단대출에 규제를 들이댔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가계부채가 한국 경제의 뇌관이라는 지적에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없다. 그러나 가계부채 숫자를 줄이려다 서민들의 고통만 키우는 게 아닌지, 가계부채 관리 방법론을 돌이켜 볼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