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지난 96년부터 2005년까지 10년동안의 도시근로자가구 소득증가율은 전국아파트값 증가율에도 미치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대비부담 갈수록 커져
LG경제연구원은 17일 `IMF 위기 전후 한국경제와 생활여건`보고서(이철용 배민근 연구위원 등)에서 "가구주 연령이 40~44세인 우리나라 도시근로자 가구가 느끼는 노후부담 정도가 지난 87년 이후 악화돼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현재 연간 경상소득이 4177만원인 40~44세 가주주의 경우 55세 이후 필요한 노후자금 규모(82세까지 생존가정)는 9억 7873만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연간 노후생활비는 3626만원(국민연금 매월 50만원 수령가정)으로 계산됐다.
따라서 노후부담률(노후자금규모/연간 경상소득)은 23.4배. 이같은 노후부담률은 지난 87년에는 13.9배, 97년은 18.7배였다.
보고서는 "미국이나 일본 등에 비해 우리나라의 노후대비 여건이 악화되고 있다"며 "이는 우리나라 거시변수들이 외국에 비해 생활비 부담을 늘리고 투자수익률을 낮추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점 외에 우리나라 국민들의 라이프스타일 눈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있기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보고서는 내 집 마련 부담도 늘어났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도시근로자가구 가계소득은 96년을 100으로 할때 2005년 현재 152.5로, 전국주택 평균가격(127.9)보다는 증가했다. 그러나 강남아파트 가격(232.2)은 물론 서울아파트 가격(195.5)이나 전국 아파트 가격(161.5)에도 못 미쳤다.
특히 가계소득과 각종 주택지수간 격차는 2002년 이후 급격히 벌어지기 시작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가계지출 대비 주거 교육비 비중, 日의 2배
우리나라 가계지출에서 주거비 및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도 일본의 2배 가까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사교육비가 통계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격차는 더 큰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일본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2006년 3/4분기 현재 주거비 비중은 한국이 10.7%로 일본(6.5%)의 2배 가까이 되며, 교육비 비중은 11.6%로 역시 일본(4.2%)보다 크게 높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미국은 우리보다 주거 교육비 비중이 높다고 밝혔다. 2005년 한국의 소득 대비 교육비 비중은 7.6%로 미국(1.6%)보다 훨씬 높지만, 한국의 주거비 비중은 7.0%로 미국(25.8%)의 1/4 수준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그러나 "미국에서 주거비 비중이 높은 것은 한국과 달리 매월 원리금 상환 부담이 높은 모기지제도(고정금리 장기주택담보대출)가 일반화되어 있기 때문"이라며 "내집 마련 패턴의 차이를 감안하고 우리 통계에 사교육비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우리가 미국보다 체감 주거비 부담이 작다고 단언하기 힘들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