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2만개 기업과 6만3000개 공공기관이 참여하는 공공조달 규모는 2019년 160조원에서 지난해 184조2000억원으로 커졌다. 대규모 공공구매력을 산업, 혁신, 환경 등 국가 주요정책을 뒷받침하는 정책 수단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다.
정부는 먼저 복잡한 지정체계와 공공성이 낮은 제품 지정 등 혁신제품 지정 과정에서의 제도를 보완한다는 방침이다. 혁신제품 지정체계를 기존 3개에서 2개로 단순화하고, 실효성이 낮은 제품은 제외한다. 또 지정 후 혁신장터 등록 기간도 단축한다.
평가방식도 개선한다. 기존에는 물품구매액 비율을 혁신구매목표로 잡아 성과 중심의 목표제를 운영하면서 질적인 성과평가가 미비했다는 지적이다.
이에 정부는 혁신구매목표를 운영하면서 구매목표를 합리화한다는 방침이다. 물품구매액의 일정 비율을 구매목표로 설정하는 게 아니라 최소구매 비율을 설정할 계획이다. 유형철 기재부 국고국장은 “혁신구매목표를 획일적으로 정하지 않고 각 기관별로 최소구매 비율을 설정하고 이를 넘을 경우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외 의존도가 심화하는 공공조달 물품 주요 소재·부품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소재·부품 기업 조달지원 등 공급망 위기 대응을 위한 공공조달의 전략적 활용을 확대한다. 정부는 중소기업 간 경쟁 입찰시 가점을 부여하고, 외국산 부품의 국산 대체시 우수조달물품 규격변경 우대를 지원할 계획이다.
발주기관 퇴직자를 통한 업무개입과 일감몰아주기 문제도 개선한다. 정부는 퇴직자 재취업 유관협회에 업무위탁 배제 및 퇴직자 접촉 관리를 추진한다. 유 국장은 “법적으로 협회에서 업무를 위탁할 수 없다고 할 수는 없지만 정책적으로 업무를 주지 않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공공조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전문연구기관을 지정해 공공조달 혁신을 위한 기초연구·정책개발 수행도 강화한다. 또 상품등록 등 조달기업 지원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방안도 장기적으로 검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