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기찬(사진·60)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이데일리 인터뷰에서 “항만 자동화는 거스를 수 없는 현실이자 미래 세대를 위한 과제”라며 이같이 밝혔다. 항만자동화는 하역·이송·보관·반출의 항만운영 전 단계를 무인기술로 처리하는 것이다.
현재 부산신항은 항만의 안벽·이송 영역은 유인, 나머지는 무인인 ‘반자동화’ 시스템이다. 해양수산부는 부산신항 서측의 2-5단계 부두(3개 선석·2022년 개장 예정), 2-6단계 부두(2개 선석·2024년 개장 예정)에 국내 최초의 완전 자동화 항만 도입을 검토 중이다.
부산항만공사, 해수부, 부산항운노동조합, 부산항만물류협회는 지난해 10월 노사정 협의체를 꾸렸다. 협의체는 △항만 자동화 도입 대상, 시기, 운영모델 △항만 근로자 고용안정 대책항만 운영모델 △항만 육성정책 등을 논의 중이다. 올해 광양항에 무인기술 실증 시험(테스트 베드) 성격의 시범운영도 예정돼 있다.
아울러 남 사장은 “일자리에 대한 노사정 합의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조는 무인항만 도입에 따른 실직을 우려하고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항만운송노동연구원은 작년 9월부터 올해 7월까지 ‘항만자동화 도입 타당성 및 자동화 도입에 따른 일자리 영향과 직무전환 사례 등에 대한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남 사장은 “지난달 노사정 합동으로 미국의 LA항, 롱비치항 자동화 부두를 찾아 선진국의 운영사, 선사, 노조의 입장을 확인했다”며 “앞으로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상생협력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내 항만의 운영 특성, 무인항만 도입에 따른 운영 비효율 문제, 자동화 기술 수준 등을 충분히 검증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