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최정훈 신중섭 기자] 경찰이 버닝썬 클럽 사건을 계기로 마약과 전쟁을 선포했지만 잃어버린 마약 청정국의 지위를 되찾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더이상 경찰에만 마약 문제 해결을 의존할 것이 아니라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지난해 마약 투약 재범률 32.3%…중독자·마약류 관리 허술
한국이 지난 2016년 이후 마약 청정국가 대열에서 멀어진 이유 중 하나로 낮은 처벌 수위가 꼽힌다. 현행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마약과 관련해 어떤 행위를 했는지와 마약을 투약했다면 어떤 종류의 마약을 투약했느냐에 따라 처벌수위가 달라진다. 마약 중 가장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는 대마초는 흡입하면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마약 중독자와 마약류 관리가 허술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마약관리법에는 `마약류 중독자에 대한 치료보호와 사회복귀 촉진을 위해 연구·조사 등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하지만 정부가 지원하고 있는 전국 21개 전문치료병원의 치료·재활 관련 예산은 2009년 2억3200만원에서 2016년 6000만원으로 줄었다. 민간 단체인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외에 국가차원의 통합 예방기구도 없는 실정이다.
“처벌과 교육·치료 병행하는 시스템 도입 필요”
전경수 한국마약범죄학회장은 “재투약을 견딜 수 없는 마약 중독자를 검거해봤자 사회에 나오면 다시 범죄를 저지를 뿐”이라며 “현재 해양경찰도 마약 수사 기능이 없는데 국내에 마약이 반입될 수 있는 통로에 마약 수사 기능을 추가하는 등 유통 구멍을 막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곽대경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도 “향정신성 의약품의 경우 병원이나 약국이 관리를 철저히 한다고 하더라도 재고관리 정도에 그친다”며 “한 사람이 관리하다 보면 유혹 등에 빠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동시에 마약재고나 관리상태 등을 관리하고 서로를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어 “마약 범죄는 처벌과 교육·치료가 병행되는 것이 중요하다”며 “초범에게 적극적으로 교육과 치료를 지원해주고 재범자들은 엄격하게 처벌하는 이원화 시스템 도입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