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말그대로 철옹성이었다. 특히 취임 직후에는 꿈의 지지율로 불리는 90%를 찍기도 했다. 이후 호재와 악재의 반복 속에서 소폭 등락은 있었지만 대체로 70% 안팎을 유지하는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지지율에서 이상기류가 발생한 것은 6.13지방선거 이후다. 특히 최저임금 인상 후폭풍을 비롯한 경제현안 대처에서 실망한 민심이 지지를 철회하면서 줄곧 하락세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남북정상회담·6.13지방선거 이후 정점 찍고 줄곧 하락세…취임 후 최저치 경신
리얼미터뿐만 아니라 비슷한 시기 다른 여론조사기관들의 대통령 지지율 조사 결과도 대동소이하다. 6.13 지방선거 전후와 비교하면 두 달 동안 20% 안팎으로 떨어지면서 취임 이후 최저치를 경신했다. 지방선거 이후 별다른 반등없이 하락세가 지속되는 것도 특징이다. 한국갤럽의 8월 1주차 여론조사결과를 보면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60%를 기록했다. 4.27 남북정상회담 직후 83%와 6.13 지방선거 직후 79%로 정점을 찍은 이후 7주 연속 하락한 것. 갤럽 조사에서도 지지율 60%선 방어가 위태로운 상황이다. 전날 발표된 알앤써치의 8월 2주차 조사에서도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55.9%를 기록했다. 석 달여 전인 5월 1주차 조사에서 74.1%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무려 20% 포인트 가량 하락한 셈이다.
일시적 하락 향후 반등 가능 vs 경제악재에 대세하락의 신호탄
향후 지지율 추이에 대해서는 전망이 엇갈린다. 우선 일시적인 하락에 그칠 뿐 반등이 가능하다는 낙관론이다. 문 대통령의 지지율 상승의 원동력이었던 외교안보 분야에서 성과가 나올 경우 추가 상승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실제 △평양방문과 제3차 남북정상회담 △노벨평화상 수상 가능성 △남북미중 4자 합의에 따른 종전선언과 한반도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 여부 등에 따라 지지율은 다시 오를 수 있다. 반면 지지율 상승은커녕 추가하락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비관론도 상당하다. 최저임금 인상 후폭풍의 여파 속에서 소득주도성장 논란이 여전한 가운데 경제문제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내놓지 못할 경우 추가하락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실제 각종 여론조사에서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을 부정평가하는 주요 이유는 민생경제 문제가 압도적이다. 이때문에 문 대통령이 여름휴가 이후 혁신성장을 위한 규제혁신 행보를 한층 강화하고 있는 것도 경제문제에서 반드시 가시적인 성과를 내야 한다는 절박감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