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적인 공조 필요” 한 목소리
전문가들은 토빈세처럼 급격한 외화유출입을 제어하는 수단이 필요하다는 점에는 비교적 공감하는 분위기다. 다만 유럽의 경우처럼 공조를 통한 제어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견해다. 다음달로 예정된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나, 아세안+3 등에서 이같은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전성인 홍익대 교수는 “기본적으로 검토 가능한 이슈”라며 “다만 한국 혼자서 하기 보다는 가능한 국제공조를 통해 이슈를 만들고, 주도권을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역내에서 한·중·일 공동으로 하는 방안 등을 검토해볼 수 있지 않겠냐”고 덧붙였다. 최공필 한국금융연구원 자문위원은 “토빈세 개념의 장치가 필요하다는 논의는 공감한다”면서도 “선진국들이 어떤 방향을 취하는지에 따라 흐름이 바뀔수도 있는 만큼 여러나라가 같이 참여하는 구도로 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규제가 능사 아니다”
정부가 새로운 규제를 도입하기 보다 확실한 개입을 하는 것이 오히려 효과적이라는 의견도 제시됐다. 단기적인 투자자금 유입으로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 정부가 보다 확실하게 개입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토빈세와 같은 새로운 규제로 인해 거래가 감소하는 역효과가 생길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익명을 요구한 대형증권사 관계자는 “지금 시장은 자율적인 순환구조가 작용할 만큼 구조적으로 갖춰져 있다”며 “단순히 달러-원 환율외에 다양한 요인들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진우 NH농협선물 리서치센터장도 “지금보다 정부가 확실한 개입을 해주는 것이 투기적인 자금들에 대한 확실한 경고사인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도움말 주신 분들>이진우 NH농협선물 리서치센터장, 전성인 홍익대 경제학과 교수, 최공필 한국금융연구원 상임자문위원,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