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간지 기자 출신 정진영(42) 작가가 최근 펴낸 장편소설 ‘정치인’(안나푸르나)의 큰 줄거리다. 비례대표 후(後)순위였던 한 시민단체 대표 ‘정치인’이 엉겁결에 임기 1년 남은 국회의원이 되면서 벌어지는 일을 그렸다. 전작인 ‘침묵주의보’(문학수첩·2018)와 ‘젠가’(은행나무·2020)가 각각 언론사, 기업 조직을 주무대로 삼았다면 이번 배경은 국회다. 이른바 정 작가 ‘조직 3부작’의 완결편인 셈이다.
왜 정치인일까. 26일 전화로 만난 정 작가는 “‘정치인은 법을 만드는 사람인데 왜 그 이야기를 아무도 하지 않을까’라는 의문에서 출발한 소설”이라며 “어떻게 법이 만들어지는지 입법 과정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했다.
사회부 법조 출입 기자 시절, 만나는 주변 사람마다 똑같은 걸 물어왔단다. “법은 왜 가진 자들에게만 유리하냐”는 탄식이었다는 것. 그는 “모두가 법을 욕하는데 그 법을 만든 건 국회의원이고, 그 의원을 뽑은 건 정작 ‘우리’라는 사실을 알리고 싶었다”며 “진영에 갇혀 ‘묻지마 투표’로 의원을 뽑으면 결국 나의 손해로 돌아온다는 현실을 말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
뚜렷한 기승전결 구조와 인물들을 작위적이지 않게 사실적으로 그려내는 점도 그의 소설 강점이다. 작품은 일찌감치 드라마화를 확정했다. 작가의 2018년 작 ‘침묵주의보’ 역시 황정민 주연의 JTBC 드라마 ‘허쉬’로 선보였고, 이어 내놓은 ‘젠가’도 스튜디오 드래곤에서 판권을 확보해 드라마로 만들어질 예정이다.
정 작가는 자신의 작품이 방송가에서 잘 팔리는 이유에 대해 “한국문학을 가장 열심히 찾아 읽는 이들은 평론가도, 작가도 아니다. 지식재산권(IP)을 찾아 헤매는 방송국 피디(PD)들”이라면서 “개인의 내면을 서정적 문체로 써내는 주류 한국문학이 영상화하기 부적합하다면, 의도하지 않았지만 내 작품은 캐릭터가 확실하고, 영상이 잘 떠올려진다더라. 웹소설, 웹툰이 자주 드라마로 만들어지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
올해 출간 예정인 작품들도 쏟아진다. 5편의 각 단편을 문예지(악스트)와 앤솔러지(일정한 주제에 따른 여러 작가의 작품을 모은 작품집)를 통해 발표하고, 연말 정 작가의 첫 소설집이 나온다. 오는 8월말이나 9월초께는 ‘월급사실주의’ 동인지를 선보인다. 정 작가는 보통 사람들의 먹고사는 문제를 다루는 소설이 필요하다고 믿는 작가들의 모임인 ‘월급사실주의 동인’이다. ‘한국 소설이 우리 시대의 노동을 제대로 그리지 못하고 있다’는 게 이들의 공통 인식이다.
“작가를 대단한 예술가라고 생각해본 적이 없어요. 자율성을 가진 하나의 직업인 거죠. 제 글쓰기는 저널리즘 역할을 하는 겁니다. ‘원전비리’ 같은 걸 기사로 다루는 데 한계가 있잖아요. 현실에 발붙인 이야기를 써내려갈 겁니다. 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