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만성 신장질환 환자는 2018년 22만6천8백여명에서 2021년 27만7천2백여명으로 3년만에 22%의 증가율을 보였다. 그 중 혈액투석 환자는 8만1천여명, 복막투석 환자는 5천900여명으로 나타났는데 집에서 스스로 하는 복막투석보다는 의료기관에서 진행하는 혈액투석을 하는 환자가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1년 기준)
혈액투석을 하기 위해서는 동정맥루라고 하는 혈관 접근로가 필요하다. 분당 200 ml 이상의 혈액을 빼내고 걸러낸 후 다시 주입해야 하는데 말초 혈관은 이처럼 많은 양의 혈액 이동이 어렵기 때문이다. 자가 혈관 혹은 인조 혈관을 이용해 동맥과 정맥을 이어 혈관을 확장하는 방식으로, 만성 신부전 환자의 경우 조만간 투석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면 보통 혈액투석을 시작하기 몇 개월 전에 미리 혈관접근로를 만드는 수술을 한다. 하지만 급성 신부전과 같이 당장 혈액 투석이 필요한 경우라면 목 주위 경정맥에 카테터를 삽입해 투석을 시행하기도 한다.
복막투석은 병원에 내원하지 않고 배에 삽입한 투석관을 이용해 본인이 직접 하루에 4번씩 투석하는 방법이다. 간단한 수술을 통해 배 안에 ‘복막 투석 도관’을 삽입한 후 관을 통해 투석액을 주입한다. 투석액을 4~5시간 정도 복강내 머물게 하면 복막을 통해 수분과 노폐물이 걸러지는데, 이 때 다시 투석액을 내보낸다. 집에서 할 수 있고, 수면 중 기계를 이용해 시행할 수도 있다. 식사 제한이 거의 없고, 투석액을 교환할 수 있는 장소만 있다면 일이나 여행에 제한이 없는 장점이 있다.
만일 기저 질환으로 인해 동정맥루를 만들기 어렵거나 심혈관계가 불안정하다면 복막투석을 선택하고, 배쪽에 큰 수술을 받은적이 있거나 도관 삽입이 어려운 환자는 혈액투석을 받아야 한다. 이러한 경우가 아니라면 생활습관이나 병원 접근성, 자율성 등을 고려해 자신에게 맞는 투석 방법에 대해 전문의와 상의하고 치료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