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드기는 종류에 따라 크기나 형태가 각기 다르고, 몸길이가 1cm 이상이 되는 것으로부터 0.1mm 이하의 작은 것도 있다. 특히 진드기는 한 번 숙주에 달라붙으면 강력 본드로 붙인 것처럼 피부에 몸의 일부를 박고 오랫동안 피를 빠는데, 이 과정에서 여러 가지 병원체를 전파한다.
◇작은소참진드기가 원인인‘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국내 전역에 서식하는 작은소참진드기는 봄에서 가을철까지 활동한다. 일반적인 진드기와 달리 산과 들 등 야외에서 활동한다. SFTS바이러스에 감염된 진드기에 물리면 1~2주의 잠복기 이후 감기 증상 비슷하게 열이 나거나 근육통을 앓고, 이후 설사가 나거나 근육통이 심해지고, 심지어는 의식이 떨어지는 뇌 증상을 보이다가 상태가 급격하게 나빠지면서 사망한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교수는 “SFTS 증상은 독감이나 식중독 등 다른 원인에 의한 증상과 초기증상이 유사해 쉽게 감별해내기 어렵다”며 “야외활동 후 열이나 구토, 설사의 증상을 보이면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시중의 판매되는 해충기피제에는 DEET라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데, 해충들이 가장 싫어하는 성분으로 전 세계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다만 독성이 강해서 어린 아이들과 임산부가 사용할 때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쯔쯔가무시병은 털진드기에 의해 사람에게 전파된다. 털진드기는 집쥐, 들쥐와 같은 숲이나 시골의 설치류에 기생한다. 사람을 물어 병을 전파하는 것은 유충이다. 털진드기가 많이 사는 숲이나 관목 지역을 사람이 지나가게 되면 유충이 우발적으로 사람의 피부에 부착하게 돼 조직액을 흡입할 때 균체가 주입돼 발병한다.
연중 발병이 가능하나 90% 이상이 늦가을인 10월과 11월에 주로 많다. 고열, 두통, 원발 병변인 가피와 반점상 발진이 특징이다. 늦게 치료가 되거나 고령자에서 드물게 쇼크, 호흡부진, 신부전, 의식저하 등의 합병증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있고 합병증 없이 치료된 후에도 전신 쇠약감, 근육통이 수개월간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삼림진드기에 의해 발생하는 진드기 매개 뇌염
보통 7일~14일 정도의 잠복기에는 대부분 증상이 없다. 발병 초기에는 발열, 권태감, 식욕부진, 근육통, 두통, 오심, 구토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후에는 발열, 두통이나 경부 강직, 기면, 혼돈, 감각장애, 마비 등 중추신경계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합병증으로 경련, 마비 등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이 올 수 있다. 30~60%의 환자에서 장기적 혹은 영구적인 신경학적 증상이 남을 수 있고, 10~20%의 환자는 신경정신학적 합병증 있을 수 있다.
이 병 또한 현재까지 특별한 치료법이나 치료약이 없기 때문에 진드기 매개 뇌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발생국가 여행 시 기피제를 사용하고, 방호복을 착용해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오스트리아, 독일, 러시아에서 생산된 백신이 있으나 전세계적으로 통용되지 않고 있다.
▶ 관련기사 ◀
☞ 야외활동때 '살인진드기'에 물리지 않으려면
☞ "야생진드기 강력본드같아..피하는게 상책"
☞ 부산서 야생진드기 감염의심 환자 사망
☞ 살인진드기 감염 두번째 사망자 발생
☞ 살인진드기 예방법..쌍방울, '방충속옷' 관심집중
☞ 충남 홍성서도 `살인 진드기` 의심환자 발생
☞ 살인 진드기 치사율 10% 미만, 예방법 알면 걱정 덜해
☞ 더위에 살인진드기 공포..'기피제·살충제' 동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