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대형엔진은 덴마크·핀란드, 레이더 등 항법 시스템은 일본, 화물창은 프랑스 등이 각각 기술적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국내 조선사들은 선박 건조시마다 해당 라이센스 계약에 따라 관련 비용을 지급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액화천연가스(LNG) 선박 시장의 강자이긴 하지만 선박을 건조할 때마다 프랑스 엔지니어링 기업 GTT(Gaztransport & Technigaz)에 100억원가량의 기술료를 지급하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심 소장은 “탈탄소 규제로 인한 친환경 연료 추진선 개발 경쟁이 가속화하고 있어 짧게는 2~3년 내 관련 특허가 대거 등장할 수도 있다”며 “특허전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국내 조선사들도 기술개발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갖춰야 할 것”이라고 짚었다. 한국 조선업계의 미래 기술 선점이라는 차원에서 타 경쟁국 대비 친환경 연료 추진 선박 건조 기술에서 우위를 다져야 한다는 얘기다.
이와 관련, 권병훈 소장은 “자율·무인 물류체계 확산에 발맞춰 선박의 자율항해와 기관을 자동화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며 “자율운항과 디지털 트윈 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선박의 자율운항은 원격제어 가능 여부에 따라 4단계로 나뉘며 현재는 부분적으로 자율운항 시스템을 적용하는 레벨-1 단계다.
권 소장은 “내년 울산 고래관광선 대상으로 레벨-2(최소선원, 원격관제) 자율운항 솔루션을 탑재해 실증할 예정이며 2024년까지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장기적으로 30년 내에 레벨-4(무인운항) 수준의 완전 자율운항 선박을 상용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심 소장은 “현재 연안용 소형 선박의 경우 양성자교환막(PEMFC) 연료전지를 활용한 수소 선박이 발달해 있다”며 “다만 대형 선박의 경우 상용화까지 대형 극저온 수소연료 저장탱크 및 수소 연료전지 또는 수소 엔진 등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하며 경제성 문제로 수소선박이 일부 특수 선종 (수소 운반선 등)에만 적용될 가능성도 높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