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여유가 없어요. 토익에 중국어에, 거의 고3 수준이에요.”
며칠 전 만난 대학 3년생 멘티의 착찹한 대답이었다. 한참 세상에 대해 호기심어린 눈빛을 반짝여야 할 청년기에 취업 스펙 쌓기라니! 대학 입학 축하 꽃다발이 시들기도 전에 취업 걱정이 시작된다더니 틀린 말이 아니었다. “괜찮은 곳에 입사하려면 두 가지 정도 외국어 구사는 기본이고, 연수나 인턴 경력에, 어지간한 자격증도 갖춰두야 한답니다.” 문제는 스펙의 중압감이 취업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는 데 있다. 그룹사 입사 3년차 인 윤소영씨.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해외 MBA과정을 알아보고 있다. 그가 속한 기획부서에서 인정받고 승진한 선배들은 거의 MBA출신이기 때문이다. 최근엔 고등학생까지 스펙 쌓기에 혈안이다. 봉사활동이나 리더십활동 같은 특별활동을 하면 입학사정관제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아이러니하게도 기업 인사책임자들은 결코 스펙으로 인재를 뽑지 않는다고 말한다. 최근 삼성그룹이 전국의 대학들을 돌며 벌이는 열정樂서에서 삼성전자의 인사담당 원기찬 부사장은 “보여주기 위한 스펙 필요없다”며 스펙보다 더 중요한 건 균형감각과 사고의 깊이 그리고 진실성임을 강조했다. 글로벌 금융계에서 평생을 몸 담은 CEO 한 분은 채용 기준을 한마디로 명쾌하게 정리한다. “주니어는 애티튜드(Attitude), 시니어는 로열티(Royalty)” 하버드 출신이건, SKY를 나왔던 사회초년생에게 그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일에 대한 마음가짐과 태도라는 말이다.
다시 말해 기업에서 실제로 원하는 것은 능력을 증빙하는 자료가 아니라 일을 해 낼 수 있는 진정한 능력, 일에 임하는 태도와 업무처리 과정에서 보여지는 생각과 행동, 의사소통을 포함한 업무력 그 본질인 셈이다. 최근 직장인 500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의하면 입사 전 쌓은 스펙의 약 39% 정도만이 업무에 활용되고 있다고 하니 막연한 스펙 쌓기로 인한 개인적 사회적 손실이 얼마나 큰지를 가늠하게 해준다.
스펙은 그저 참고자료일 뿐이다. 원하는 것을 진정으로 이루고자 한다면 스펙을 넘어서는 그 이상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자신이 진정으로 가고자 하는 길을 알고, 열정을 쏟고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 그 일을 꼭 해낼 수 있는 인재로 스스로를 다듬어가는 성숙함을 갖추어야 한다. 세상은 넓고 할 일은 많다. 스펙에 대한 집착을 버려야 스펙 그 이상의 스펙을 가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