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정부가 물가급등세를 낮추기 위해 추진하는 전기·가스요금 인상 억제, 유류세 인하 등의 정책이 오히려 물가를 더디게 떨어뜨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
한은은 “우리나라의 경우 팬데믹·전쟁 등으로 비용 압력이 누증됐던 데다 올해 중반 이후 추가적인 공급 충격이 크게 나타나면서 당초 예상보다 파급 영향이 오래 지속될 수 있어 향후 디스인플레이션(물가상승률 둔화)이 더디게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한은은 “팬데믹 이후 비용상승 충격을 완충했던 전기·가스요금 인상폭 제한, 유류세 인하 등과 같은 정부의 정책 지원도 인플레이션 둔화 흐름을 더디게 하는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전기·가스 요금 인상 시기가 주요국 대비 이연되면서 추후 요금 인상시 파급 영향이 지속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유류세 인하폭(휘발유 25%, 경유 37%)이 축소될 경우에도 물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한은은 전일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와 내년 물가상승률을 각각 0.1%포인트, 0.2%포인트 상향 조정한 3.6%, 2.6%로 높였다.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근원물가 상승률도 올해 3.5%, 내년 2.3%로 0.1%포인트, 0.2%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한은은 “근원물가 상승률의 경우 주요 선진국에서 완만한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3.2%로 최근 다소 더딘 둔화 흐름을 보이지만 10월 현재 4%대인 주요 선진국에 비해 크게 낮다”고 설명했다.
미국은 타이트한 노동시장과 예상보다 강한 성장세로 서비스 물가 위주로 근원물가 상승률이 더디게 둔화하고 유로지역은 성장세가 미약함에도 공급충격의 2차 효과 지속, 높은 임금상승률에 따라 서비스 물가가 높은 오름세를 보인다. 반면 우리나라는 국내 수요 압력 약화 등으로 서비스 물가는 둔화되나 누적된 비용 압력으로 상품 가격의 상승률 둔화 흐름이 아직 뚜렷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