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남궁민관 기자] 북한 광물자원 개발과 관련 과거 우리나라가 직접 참여한 사업들에도 관심이 쏠린다. 조만간 남·북간 경제협력(경협)이 가시화되고 해당 사업들의 재개에서부터 광물자원 개발 사업이 추진될 전망이기 때문이다.
|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
|
3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광물자원공사는 북한 광물자원 개발 사업의 초기 사업 과제로 정촌광산의 사업 재개와 함께 신경제지도 사업에 따라 단천지역 광산의 개발부터 재추진할 계획이다.
두 광산은 모두 우리 정부가 북한과 함께 투자해 개발한 광산들이다. 정촌 광산은 탐사 및 개발을 완료하고 상업생산까지 돌입한 바 있으며, 단천지역 광산은 개발 단계까지 진행됐다. 정촌광산은 2010년 천안함 폭침에 이어 북한 제재안인 5·24 조치로 중단됐고, 단천지역 광산 개발은 이보다 앞선 2008년 이명박 정부 출범과 함께 멈춰선 상황이다.
정촌광산은 약 635만t(톤)의 흑연이 매장돼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정부는 지난 2003년 7월 북한 명지총회사와 각각 50%씩 투자해 흑연 생산에 돌입했다. 우리나라는 총 63억원을 투자했으며 2007년부터 상업생산 돌입에 성공했다. 당초 연간 3000t의 흑연을 들여올 계획이었지만, 2010년 생산 중단시까지 850t을 들여오는데 그쳤다.
단천지역 광산은 정부가 마련한 한반도 신경제지도에서 자원벨트로 묶이면서 남·북 경협의 핵심 사업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단천 지역은 2006년 남·북장관급회담에서 민족공동자원개발특구 지정이 추진됐으며 2007년 10·4선언으로 단천지구광산 사업계획을 2008년 상반기 중 확정키로 결정한 바 있다. 다만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급격히 남·북 관계가 경색되며 탐사 단계에서 멈춰섰다.
이외에도 우리나라 기업인 서평에너지는 2007년 천성 무연탄 사업을 북한으로부터 승인 받아 수송을 위한 전용부두 건설 등 1000만달러를 투자한 바 있다. 건설이 완료되기도 전 중단됐다. 또 태림산업은 2005년 북한 룡강에 석재 생산을 승인받고 1000만달러를 투자했지만 이 역시 성과없이 멈춰선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