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이 연이어 추진되면서 한반도 정세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 위기에서 벗어나 항구적인 평화 체제를 정착시킬 수 있느냐 하는 전환점을 맞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대북 접촉을 꺼리던 미국이 일단 긍정적인 분위기로 바뀌었다는 것부터가 고무적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정상회담 시기를 오는 5월로 전격 제의하면서 “역사적인 돌파구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기대감을 표시했다는 사실에서도 확인된다.
위기로 치닫던 한반도 사태가 이처럼 극적인 반전을 맞기까지 우리 정부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음은 물론이다.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북측을 대화 테이블로 끌어낸 문재인 대통령의 적극적인 ‘운전자론’이 효과를 발휘한 결과다. 평양을 방문했던 정의용·서훈 등 특사단은 어제 미국 방문에서 귀국하자마자 오늘 다시 중국과 일본, 러시아에 파견돼 관련국들의 이해와 협조를 구하게 된다. 조만간 북핵 문제 6자회담이 열리는 것도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것이다.
그렇다고 지금 기류가 그대로 이어질 것으로 낙관만 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남북정상회담은 예정대로 열리겠지만 북미정상회담은 자칫 미묘한 변수에도 차질이 빚어지거나 결렬 위기를 맞을 개연성이 다분하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구체적 조치와 행동이 없이는 회담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는 미 행정부 일각의 관측이 그것을 말해준다. 북한 노동신문도 “우리에겐 그 어떤 군사적 힘도, 제재와 봉쇄도 절대 통하지 않는다”며 맞서고 있다. 깨지기 쉬운 유리그릇을 놓고 기세다툼을 벌이는 모습이다.
결국 마지막 순간까지 우리 정부의 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핵 폐기에 대한 북한의 진정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 외국 언론들은 문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 가능성까지 거론하고 있다. 북미 대화를 성사시켰다는 것만으로도 평가 받을 만하다. 하지만 대화가 아무런 소득도 없이 끝난다면 한반도 사태는 다시 파국에 처할 수밖에 없다. 우리의 중재 노력이 수포로 그치지 않도록 긴장의 끈을 놓지 말고 치밀한 자세로 매달려야 한다. 앞으로 두어달 뒤에는 모든 것이 판가름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