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진희선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세부 계획을 발표하기 전 서울시가 갖고 있는 고민을 토로했습니다.
전셋값은 천정부지로 오르고 있고, 이마저도 월세로 전환되는 사례가 늘면서 서민들의 주거비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전체 임차가구의 47.8%가 소득 4분의 1 이상을 주거비로 지출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미혼 남녀 38.5%는 주택 마련 부담 때문에 결혼을 하지 않겠다고 합니다.
임대료가 저렴하면서 장기간 임대를 보장할 수 있는 공공임대주택의 필요성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그야말로 진퇴양난에 빠진 서울시가 이번에 내놓은 묘수가 바로 서울형 민간임대주택입니다.
지금처럼 공공임대주택을 필요한 만큼 늘릴 수 없다면 민간이 갖고 있는 임대주택에 공공성을 더해 공공임대주택처럼 서민들에게 공급하겠다는 것이 이번 대책의 핵심입니다.
세입자 모집과 건물 유지관리 등 임대인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을 시가 대신 해결해 주고 세입자에게는 과도한 임대료 상승과 불확실한 임대기간으로 인한 주거불안정을 해소해 줘 상생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공동체형 주택과 준공공임대, 규제완화, 공공성 강화 등의 방안도 내놨습니다. 한발 더 나가면 다양한 형태의 서울형 민간임대주택을 ‘표본’처럼 만들어 놓고 이 사업이 잘 되면 다른 임대인들도 서울형 민간임대주택에 참여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공공성을 가진 임대주택을 늘릴 수 있다는 것이 서울시의 복안입니다.
임대인들 입장에서 혜택보다는 손해가 큰데 과연 서울형 민간임대주택에 참여하겠느냐 하는 것이 부동산 전문가들의 주된 의견입니다.
다행히 진 실장은 “시장 반응을 봐서 지원 내용 등은 변경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좀 더 실효성 있는 대책이 나와 집이 없어서 결혼을 포기하는 청년이나, 쪽방에서 홀로 외롭게 삶을 마감하는 독거노인들이 더 이상 나오지 않길 바라는 마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