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청으로 인공와우 이식을 받은 38세 정모씨는 2년 전 쌍둥이 아이들과 병원을 찾았다. 쌍둥이 동생이 소리에 대한 반응이 크게 없어 난청이 의심됐기 때문이다. 쌍둥이 누나도 함께 검사를 받아보니 난청 유전자가 발견됐고 누나와 동생 모두 난청을 진단받았다. 조기에 발견해 인공와우 이식 수술을 받은 덕분에 다행히 쌍둥이들은 듣는데 큰 어려움 없이 정상적으로 언어발달이 잘 이뤄지고 있다.
|
‘난청’이란 말이나 소리를 듣는 것에 어려움이 있는 상태다. 질환이라기보다는 잘 들리지 않는 증상 그 자체를 말한다. 국내 난청 환자는 2012년 27만7000여 명에서 2017년 34만9000여명, 2019년에는 41만8000여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 중 70대 이상이 34.9%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60대가 18.7%, 50대가 14.9%로 50대 이상 환자의 비중이 68%를 차지하고 있다. 30대 이하 젊은 환자도 8만2500여 명으로 19.7%나 된다.
난청은 신생아에게서도 흔하게 나타난다. 국내 통계에 따르면 신생아 1000명당 4.6명이 중등도 이상의 난청을 보이고 있다. 이 중 1~2명 정도는 거의 듣지 못하는 양측 고도 난청이다. 난청 치료 명의인 최병윤 분당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신생아와 유·소아기에 정상적인 청각 발달은 언어·인지능력 발달을 위해 가장 기본적인 요소”라며 “이 시기에 적절한 소리 자극을 통해 대뇌를 발달시키지 못하면 학습 발달에 문제가 생기는 것은 물론 사회·정서적 발달에도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소리는 귀를 지나 달팽이관과 신경을 거쳐 뇌에 도달하는 과정을 통해 전달된다. 그런데 이 과정 중에서 어떠한 부분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 증상이 나타나게 되고 그 원인이 되는 부분에 따라 크게 △전음성 △감각신경성 △혼합성 난청으로 분류된다.
전음성 난청은 소리의 전달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로 만성 중이염과 소아에서 흔한 삼출성 중이염, 이소골 연쇄의 파괴 등이 원인이다. 반면 감각신경성 난청은 달팽이관까지 소리의 전달이 잘 이뤄졌음에도 불구하고 달팽이관의 소리를 감지하는 기능에 이상이 생기거나 소리의 자극을 뇌로 전달하는 청신경 또는 중추신경계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경우다. 소음성·노인성 난청, 메니에르병, 갑상선 기능저하와 신경학적·면역 이상 등 다양한 요인이 원인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감각신경성 및 전음성 청력손실이 결합된 형태가 바로 혼합성 난청으로 유전적 요인과 과도한 소음 노출, 감염, 외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정확한 원인 파악 후 청각 재활해야
반면에 노화성 난청은 주요 원인이 노화인 만큼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적극적인 보청기 착용을 통해 진행을 늦추고 예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정기적인 청력검사로 난청의 진행속도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보청기를 조절해가며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청기 착용이 필요한 중도 이상의 난청 노인임에도 착용 불편, 구입과 관리 비용 부담, 보청기 착용에 대한 부정적 인식 등을 이유로 실제로 보청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최 교수는 “노화로 인한 난청은 경도인지장애·치매와 같은 인지기능 장애 발병 위험을 높이고 사회적 고립·단절로 인한 우울증 문제로 이어질 수도 있다”며 “난청 기준에 미치지 않더라도 생활에 불편함을 느끼기 시작한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교수는 “난청은 조기에 진단하고 재활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연이어 강조했다. 신생아의 경우 검사비용과 난청 진단 시 보청기와 인공와우 수술비를 상당 부분 국가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다. 생후 1개월 내 신생아청각선별검사를 시행하고 결과에 이상이 있다면 생후 3개월 이내에 정밀검사를 반드시 받는 것이 좋다. 소아 난청이 진단될 경우에는 생후 6개월 이내에 적절한 청각재활을 시작해야 예후가 좋기 때문이다.
고령화와 함께 이어폰 사용이 확산되면서 난청 인구가 늘고 있다. 노화·소음 등으로 달팽이관에서 소리 감지 역할을 하는 유모세포가 손상되면 소리가 뇌까지 잘 전달이 되지 않게 된다. 이 유모세포는 한번 손상되면 회복이 되지 않으므로 노화성·소음성 난청은 한 번 발생하면 되돌릴 수가 없다. 따라서 소음에 노출되지 않도록 젊어서부터 주의해야 하고 중이염이 장기간 지속되면 난청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이비인후과 질환 발생 시 방치하지 않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럴 때 난청 의심하세요
- 다른 사람이 하는 말이 웅얼거리거나 얼버무리는 것 같아 자꾸 되묻는다.
- 식당, 카페 등 소음 환경에서 대화가 어렵다.
- 목소리가 커졌다.
- TV스마트폰 볼륨이 커졌다.
- 음정이 높은 아이·여성의 목소리가 남성 목소리보다 알아듣기 어렵다.
- 말의 받침음인 자음 소리를 듣고 말하기가 어렵다 (예: 밥 vs 밤 구분이 어렵다).
- 특정 소리가 불쾌감을 일으키거나 이명(귀울림)이 나타난다.
- 소리에 대한 반응이 없거나 또래에 비해 언어발달이 느리고, 발음이 좋지 않다(소아 난청).
- 한쪽 귀로만 들으려고 한다 (소아난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