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닥벤처펀드를 운용하고 있는 한 자산운용사 펀드매니저는 “소득공제나 공모주 우선배정 등 혜택을 받으려면 펀드 설정 후 6개월 이내에 운용자산의 15% 이상을 벤처기업 신주에 투자해야 하는 조건이 너무 부담스러웠다”며 “첫 6개월은 전환사채(CB) 발행이나 IPO 공모가가 너무 높게 결정되는 부작용이 있었던 만큼 조건을 다소 완화할 필요는 있다”고 말했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 역시 “공모주를 더 늘리고 일정부분을 벤처기업 신주에 투자를 해야한다는 가이드라인을 없애야 한다”며 “권장을 한다고 했지만 이게 하나의 족쇄가 될 수 있고, 실제로 벤처기업도 수천억원의 큰 돈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출시 1주년을 맞아 가능하다면 가이드라인을 좀 더 섬세하게 보완할 필요가 있다”며 “예컨대 규모별로 나눠서 일부분은 비상장 기업에 투자하게 하거나, 정말 코스닥 시장 활성화를 원한다면 코스닥 상장사에만 투자를 하게 하는 방법 등을 강구해야 하다”고 덧붙엿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기업분석팀 부장은 “정부도 벤처기업, 비상장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한다고 했기 때문에 당연히 유통시장 활성화가 수반돼야 한다”며 “특히 개인들의 투자가 살아나려면 세제 혜택을 좀 더 줘야 한다”고 말했다.
코스닥벤처펀드의 기본 목표인 중소벤처기업 육성과 코스닥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금융지원 뿐 아니라 실제 사업에 필요한 정책적 지원이 더 절실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 펀드매니저는 “장기적으로 중소벤처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펀드와 같은 금융적 지원도 좋지만, 뒷단에서 실제 사업에 도움이 되는 규제 완화나 인프라 구축 지원 등이 더 필요하다”며 “가령 신약을 개발한 업체들이 건강보험에 들어가기 위해 과도하게 낮은 약가를 책정받는다든지, 신기술 기반의 IT 사업이 규제 장벽에 가로막힌다든지 하는 일들에 보다 많은 관심을 줘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