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경계영 기자] 민간택지로의 분양가 상한제 확대 적용 방침이 발표된 이후 청약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른다. 분양가 상한제 개선 방안 발표 이후 처음으로 서울에서 청약 접수를 진행한 동작구 사당동 이수푸르지오더프레티움은 평균 경쟁률이 203.75대 1에 달했다. 미분양 사태가 빚어졌던 검단신도시에선 6월 초 3040가구에 달했던 미분양 물량이 17일부로 모두 팔렸다.
이같은 청약시장의 이상현상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진다. 2010년대 초 서울 등지에서 살 때보다 더 떨어진 집값에 거래마저 없어 팔고 싶어도 팔지 못하는 ‘하우스푸어’ 사태가 재현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주택을 비롯한 부동산시장이 중장기적으로 연동될 수밖에 없는 실물경제 상황 역시 긍정적이지 않다. 8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역대 처음으로 사실상 마이너스(-)를 기록하며 디플레이션(물가 하락)의 공포가 커진다. 올해 경제성장률도 2%대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잠재성장률이 2.5% 안팎인 점을 고려하면 잠재성장률만큼도 경제가 커나가지 못한다는 얘기다.
그럼에도 청약을 비롯한 부동산시장으로 돈이 몰리는 것과 관련해 박원갑 KB부동산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부동산시장은 장기적으로 실물경기에 따라 수렴하지만 단기적으로 경제 기초체력(펀더멘털)보다 시장 참여자의 심리와 대출금리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설명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갈 곳을 잃은 부동자금이 부동산에 유입되곤 있지만 다주택자에 대한 세금, 대출 등 규제가 강력하다”며 “분양가 수준의 적정성, 자금 조달 계획, 해당 지역에서의 수요와 공급 여건 등을 꼼꼼하게 따져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