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더 줘도 "거긴 안 가요"…개발자들 무슨 일?

[망분리 규제에 막힌 금융 AI혁신]③
금융권 개발인력 엑소더스
IT종사자 75% “망분리 규제 불편”
AI활용·고도화 사실상 불가능
"메모장에 개발하는 느낌" 토로
  • 등록 2024-07-15 오전 6:15:00

    수정 2024-07-15 오전 8:38:59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판교 게임 회사에 근무 중인 개발자 김 모 씨(30)는 최근 복수의 금융사로부터 이직 제안을 받았다. 현재 근무 중인 회사보다 높은 연봉을 제안받았지만 김 씨는 개발자 커뮤니티를 통해 망분리 근무 환경에 대한 불편함을 알고 있었고 이 때문에 자신의 커리어에 문제가 생길 것을 우려해 제안을 거절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망 분리 환경 탓에 일정 수준 이상 연봉을 제안하더라도 개발자를 영입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지난 2014년 금융권에 망분리 규제를 도입한 지 10년. 국내 금융사의 금융 혁신은 글로벌 경쟁에서 크게 뒤처지고 있다. 금융사는 의무적으로 외부 인터넷망과 내부 전산실 연결망을 모두 분리해서 운영해야 한다. 이는 금융시스템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데는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개발 능률과 효율성을 지나치게 떨어뜨린다. 생성형 AI를 이용해 고도화한 고객응대와 상품개발 등은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다. 규제에 가로막힌 핀테크 업체는 성장 동력을 잃었고 금융사는 손을 놓고 있다. 개발자가 떠나면서 혁신은 찾아볼 수 없다. 지금 금융권의 현실이다.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14일 직장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와 개발자 커뮤니티 ‘OKKY’ 등에 따르면 개발 인력이 금융권으로의 이직을 고민할 때 제일 걸림돌로 망분리 규제를 꼽았다. 한 금융지주에 종사하는 개발자 박 모 씨는 망분리 환경에서 PC를 3대를 쓰며 일한다며 예를 들어 구글링 같은 간단한 검색 엔진을 사용할 때도 스위치를 눌러서 컴퓨터를 바꿔 사용해야 한다고 했다. 박 씨는 “라이브러리, 플러그인도 못 받는 폐쇄망을 쓰는 환경에 지쳤다”며 “코드 정리도 안됐고 코드 색도 구분을 하지 않다 보니 메모장에 개발하는 느낌이다”고 토로했다.

회사로서도 난감하다.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의 도입과 관련해 금융업은 망분리 규제로 AI 활용과 고도화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망분리 규제를 적용받지 않고 AI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금융회사 전산센터 내부의 온프레미스 형식 혹은 프라이빗 클라우드 형식이어야 하는데 시스템 구축 비용이 별도로 발생해 부담이 크다.

특히 핀테크 업계에서는 오픈소스,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기반 개발 도구 등 신기술 활용도가 중요해지고 있지만 망분리 규제가 신기술 활용성을 떨어뜨려 사업을 전개해나가기 어려운 부분이 대부분이다. 한 핀테크 업체 관계자는 “금융감독원 등이 원하는 수준의 망분리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최소 수십억원의 비용이 든다”며 “스타트업이 이만한 비용을 감내할 수 있겠느냐”고 하소연했다. 금산분리 규제 때문에 금융지주사가 속 시원히 지원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실제 금융권의 AI 활용은 데이터 활용·공유 관련 규제 등으로 실제 활용도가 저조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금융지주·은행·증권·보험 등 116개 금융사의 IT 직무 종사자를 대상으로 ‘AI 활용현황과 정책개선과제’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5.7%는 ‘규제에 따른 활용제한’으로 AI 도입·활용에 애로사항이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IT 종사자들은 AI 활용을 저해하는 규제의 구체적 사례로 ‘망분리 규제’(76.6%)를 들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물리적 망분리 규제의 조건적 면제를 위한 규제 샌드박스라도 지정해주길 업계에서는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모델이야? 선수야?
  • 아이브 공항패션
  • "잘 있었지?"
  • 차에 불이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