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생활 서구화로 늘고있는 염증성 장질환
아시아에서는 많지 않았던 염증성 장질환 환자가 최근 늘고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궤양성대장염은 10만 명당 8.0명, 크론병은 3.8명의 유병률로 나타나고 있다. 육류, 가공식품, 인스턴트식품의 섭취 증가와 면역력을 키우기 어려운 너무 깨끗한 환경이 면역체계에 이상반응을 가져오는 것이 원인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또 다른 이유로는 진단기술의 발전과 조기검사가 늘면서 숨어있던 환자들이 많이 발견되는 이유도 있다.
◇ 설사·복통·체중감소·혈변이 주증상
염증성장질환은 크게 크론병과 궤양성대장염으로 나눈다. 이 두 질환은 증상이 서로 중첩돼 헷갈리기 쉽다. 우선 크론병은 설사・복통・체중감소가 주증상으로, 일반적인 경우 설사・복통은 흔하지만 체중감소는 거의 없기 때문에 같은 배앓이를 하더라도 체중감소가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이와는 달리 궤양성대장염은 혈변이 주증상이다. 염증이 직장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발생하기 때문에 출혈이 동반되서다. 항문질환이 없는데도 혈변이 잦다면 꼭 해당 전문의를 찾아 검사 받기를 권한다.
◇ 비슷하지만 다른 크론병과 궤양성대장염
◇ 증상 비슷한 질환 많아 진단 까다로워
염증성 장질환은 다른 질환처럼 진단이 명료하지 않다. 환자가 증상을 말하면 여러 가지 검사를 한 뒤 판단한다. 면역체계 이상을 한 번에 알 수 있는 검사방법이 없어서다. 증상을 듣고, 대장내시경, 혈액검사, 조직검사 소견을 종합해 최종 진단을 한다. 증상이 명확하면 진단을 내리 기 쉬울 수 있지만 환자에게 평생 질병코드를 부여하는 희귀난치성이기 때문에 신중하고 정확하게 판정해야 한다. 심지어 3개월 이상 걸리기도 하고, 크론병으로 진단받았다가 궤양성대장염으로 바뀌는 등 진단명이 바뀌기도 한다. 병이 깊어질수록 증상이 모호해 헷갈릴 수 있다.
◇ 치료의 목표는 증상 없는 ‘관해’ 유지
◇ 생물학적 제재 등 신약으로 치료효과 높아져
최근에는 생물학적제재가 좋은 효과를 보이고 있다. 생물학적 제재는 우리 몸 안에 염증을 유발하는 단백질(TNF-α)의 기능을 차단하는 약제다. 1 · 2차 약으로 치료가 어려운 중증도 이상 환자에게 투여한다. 성분명은 인프레시맵이며, 상품명으로는 레미케이드, 램시마 등이 있다. 조금 더 인간의 단백질과 유사한 아달리무맵(휴미라), 그리고 조금 더 타깃을 세분화한 약들도 출시됐다. TNF-α가 아닌 인테그린 같은 정밀하게 타깃을 공략하는 약이다. 하지만 정밀하다고해서 다 좋은 것은 아니다. 연구 중이거나 임상에 들어간 약들도 여러 개 있다.
◇ 이유없이 설사·복통 등 증상 계속되면 전문의 찾아야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곽민섭 교수는 “가장 중요한 것은 바쁘더라도 약제를 잘 복용하면서 정기적으로 내원해 진료를 받는 것이다. 또 환자라고 생각하고 우울감에 빠져 있기보다 ‘약으로 유지해야 하는 안 좋은 친구가 하나 있다’라고 생각하면서 일반인과 똑같이 생활을 영위하는 것”이라고 조언했다. 그는 또 “무엇보다 설사와 복통, 체중감소, 혈변이 특별한 원인 없이 3개월 간 반복되고 있다면 염증성장질환이 만성화한 것이므로 반드시 관련 전문의를 찾아 상의해 볼 것을 권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