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정환(61·사진) 재료연구소장은 이데일리와 전화인터뷰에서 일본의 우리나라 백색국가 배제 결정에 대응해 지역 기업들과 긴밀한 대응에 나서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 소장은 “우선 일본 각의 결정 하루 전인 지난 1일부터 지역 상공회의소, 테크노파크와 함께 2000여개 경남지역(재료연구소 소재지 경남 창원) 기업들에 대한 방문·설문 조사를 실시 중”이라며 “5~6일까지는 피해 예상 품목과 규모 등을 포함한 단기 대응책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소장은 “그동안 소재 관련 기업들은 재고를 두지 않는 저스티인타임(just-in-time) 방식의 생산을 했지만 이번 일본의 결정 이후 최소 3개월의 재고를 확보하도록 권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소장은 이번 일본의 사례처럼 언제든 정치적 상황 등 외부변수에 따라 무역을 무기화할 수 있기 때문에 소재·부품 국산화가 근본적인 대책이라고 힘줘 말했다. 우리가 기술을 갖고 있으면서 수입하는 것과 기술이 없는 상태에서 수입에 의존하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기 때문이다.
소재연구기관협의회, 7년간 5천억 예산 요청
이와 관련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출연연구기관 10곳과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출연연구기관 2곳 총 12개 기관으로 구성된 ‘소재연구기관협의회’는 소재·부품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중장기 연구개발(R&D) 사업계획서를 제출했다.
이 소장은 “약 30개의 핵심 소재·부품 R&D를 위해 향후 7년간 5000억 원의 예산을 요청한 상태”라며 “우리나라 소재·부품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꼭 필요한 최소한의 예산”이라고 강조했다. 과기정통부는 협의회가 제출한 사업계획서를 검토한 후 다음 달 중순께 지원 분야와 예산 규모를 결정할 방침이다.
한편 이정환 소장은 지난 1982년 재료연구소에 입사해 37년간 죽 이곳에서만 근무하며 융합공정연구부장, 산업기술지원본부장, 선임연구본부장, 부소장 등을 역임한 국내 소재 분야 최고의 전문가 중 한 명으로 통한다. 지난해 2월 3년 임기의 제5대 재료연구소장에 취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