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전격 참여와 역대 최대 규모로 세계의 관심을 집중시켰던 평창동계올림픽이 행사가 끝난 뒤 1년 만에 다시 화두로 떠올랐다. 이번엔 애물단지가 된 경기장 시설 때문이다. 막대한 혈세를 쏟아부은 시설들이 대부분 무용지물로 전락하면서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는 천덕꾸러기가 돼버렸다.
이미 진작부터 제기돼 왔던 우려다. 올림픽을 마치고는 시설활용 전망이 불투명했기 때문이다. 1년이 지난 지금 그 우려는 현실이 되고 말았다. 평창올림픽 시설에는 경기장을 새로 만들거나 기존 시설을 보완하느라 모두 8675억원의 비용이 투입됐지만 전체 13개 경기장 가운데 8곳은 행사가 끝난 이후 완전히 방치됐거나 단순 행사장으로 간혹 쓰일 뿐이다. 수익다운 수익이 있을 리가 없다.
일례로 평창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는 윤성빈 선수가 스켈레톤 종목에서 대한민국 사상 첫 금메달을 딴 영광의 무대였으나 지금은 얼음도 없이 콘크리트 바닥을 드러낸 황량한 모습이다. 무려 1143억원을 들여 ‘무결점 경기장’이란 찬사까지 받았지만 올림픽이 끝나자마자 폐쇄됐다. 운영수익이 없기는 1261억원의 건설비가 투입된 강릉 스피드스케이팅장도 매한가지다.
정선군 가리왕산 알파인경기장은 당초 방침대로 원래 상태로 복원하느냐, 아니면 곤돌라 등을 존치시키느냐를 놓고 정부와 지자체, 지역주민이 첨예하게 맞서는 바람에 시설 관리조차 손놓은 실정이다. 노르웨이 릴레함메르 등 시설의 사후 활용에 성공한 역대 동계올림픽 개최지에 관계자들을 파견해 사례 보고서를 만드는 등 부산을 떨었지만 말짱 헛수고에 그친 셈이다.
‘세금 먹는 하마’인 이들 시설을 계속 방치했다간 올림픽 후유증으로 곤욕을 치른 그리스 아테네나 일본 나가노 꼴이 되기 십상이다. 지난주 평창올림픽 1주년 기념식에서 올 상반기 중에 설립되는 올림픽기념재단을 중심으로 국민 부담이 가장 적게 들어가는 처리 방식을 찾아내겠다고 밝힌 최문순 강원지사의 다짐이 또다시 식언에 그쳐선 안 된다. 이젠 원점으로 되돌아가 정리할 것은 정리하고 꼭 필요한 시설은 남겨 놓되 수익 극대화 방안을 찾는 데 지혜를 모아야 한다. 그것이 평창올림픽을 성원한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