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런 가운데 최근 시장점유율 3위인 미국 마이크론이 내년부터 5세대 제품(HBM3E)을 양산하겠다고 선언했다. 내년께 5세대 제품 양산이 예측되는 국내 기업들과 비슷한 일정이다. 메모리 시장에서의 기술적 우위가 역전될 수 있다는 위기감을 줄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HBM은 D램과 달리 주문·수주 방식으로 거래가 이뤄져 고객사와의 호흡이 중요한데 마이크론은 빅테크를 위시한 주요 AI 수요처와 지리적·문화적으로 가까워 유리한 측면이 있다. 또 초기 단계인 만큼 새로운 표준기술의 등장이 산업 판도를 흔들 수 있어 후발주자의 립프로깅(Leapfrogging·다음 단계로 바로 점프하는 건너뜀) 가능성도 상대적으로 높다.
국내 기업들의 초격차 대응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다. 이를 위해 먼저 산학연 협력을 통해 3차원 수직적층, 패키징 등 핵심기술을 고도화하고 HBM-PIM(Processing In Memory) 등 차세대 기술을 선점해 경쟁사가 앞서 가려는 길목을 차단해야 한다. HBM 기술은 자체 공정 고도화를 통해 기술우위를 확보했던 D램 산업과 다르다. 한 기업이 모든 걸 다 할 수 없는 만큼 생태계 차원의 기술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새 메모리반도체 시장의 등장은 국내 기업들에 더 없이 좋은 기회다. 그러나 과실이 큰 만큼 경쟁도 치열해질 것이다. 기업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산학연 협력 생태계 조성, 인재 양성, 과학기술 외교 등 정부의 정책적 지원도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