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종로구 낙원상가 내 ‘추억을파는극장’에서 만난 김은주(43) 대표는 세계 최초로 실버영화관을 연 혁신가이자 사회적 기업가다. 2009년 처음 문을 연 300석 규모의 실버영화관은 지난해 연인원 19만5000명의 관객을 유치해 서울의 대표적 실버 ‘핫플레이스’로 떠올랐다.
21일 오후 2시, 실버영화관의 암막을 살짝 열고 들어가니 200여명이 넘는 노인들이 2차 대전을 배경으로 한 1943년 작(作) ‘데스티네이션 도쿄’에 몰입 중이었다. 김 대표는 “영화관 특성상 낮부터 관객들이 항상 가득찬다”고 설명했다.
노는 것 좋아했던 청년…공기업 직원에서 영화관 마케터로
김 대표는 자신을 “여느 또래처럼 나이트클럽에서 노는 것을 좋아하는 청년 중 하나였다”고 말했다. 대학 졸업 후 그의 첫 직장은 한국전력(015760) 사무직. 공기업 특성상 지루한 업무의 반복이 이어졌다.
|
그러나 단관극장의 시대는 저물고 있었다. 서울의 대부분 영화관이 멀티플렉스로 전환됐다. 이에 더해 2000년대 중반 문화재청은 스카라극장을 등록문화재로 지정하려 했다. 당시 건물주는 문화재 지정 전 영화관을 철거한다. 김 대표는 함께 일했던 동료들의 고용승계를 위해 낙원상가에 있던 예술영화관을 임대한다. 그는 “당시 임대조건이 파격적이었다”며 “예술영화관도 경영난을 겪다 보니 저와 뜻이 맞았다”고 회고했다.
고용승계 위해 시작한 실버영화관…20만 실버의 명소로
정작 경영을 시작했지만 어떻게 이 공간을 이용할지 고민이었다. 김 대표는 “주변에 노인이 많았고 그들을 위한 극장이 없다는 것에 착안했다”며 2009년 세계 최초의 실버극장이 문을 열게 된 계기를 말했다. 2012년 서대문 화양극장이 재개발로 폐관하며 김 대표는 실버영화관에 더 집중한다. 첫해 6만5000명인 관객은 입소문을 타며 지난해 약 20만명으로 빠르게 늘었다.
|
실버영화관의 티켓가격은 개관 이후로 지금까지 2000원이다. 김 대표는 이 가격을 올리지 않을 거라 강조했다. 대신 그는 “SK(034730)의 사회성과인센티브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며 “성과를 돈으로 환산해서 받는데 지난해 1억원을 지원받았다”고 말했다.
그의 꿈은 이제부터다. 김 대표는 “미래산업에 대한 말이 많지만 고령사회에 대한 대처야말로 그 답”이라며 “앞으로 한국형 사회적 기업의 롤모델로 자리매김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