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질자원연구원 소속 지하수, 활성단층 전문가들은 이번 지진이 서로 이웃한 활성단층이 영향을 주고받았고, 인구가 밀집한 지역에서 발생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에게 주는 시사점이 적지 않다고 봤다.
우리나라도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경주·포항 지진에 이어 최근 괴산 지진까지 발생하는 등 지진 안전지대라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활성단층 조사부터 지하수 연구, 내진설계 강화까지 지진 발생 시 피해를 줄일 방법을 찾아 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
이번 튀르키예 지진은 튀르키예 동부 주요 단층대인 동아나톨리아 단층 일대에서 발생했다. 지진 발생은 예고됐지만, 독립적으로 영향을 줄 것이라고 봤던 활성 단층 2~3개가 함께 깨지면서 지진 강도가 커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지난 2011년 동일본대지진에서 서로 이웃한 단층들이 영향을 주고받았던 사례와 비슷하다.
하지만, 이번 사례에서 이웃한 활성단층이 영향을 줄 가능성을 보여줬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도 앞으로 지진이 발생한다면 비슷한 사례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최진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활성지구연구센터장은 “이번 튀르키예 지진은 그동안 독립적일 것이라고 예상했던 분절 활성단층들이 영향을 주고 받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지정학적 여건상 기후에 복합적 요소가 작용하고, 지진이 드물어 연구가 어려운 환경이고, 활성 단층 조사를 시작하는 단계에 있다. 그럼에도 과거 지진 이력을 조사해 어떤 단층에서 큰 지진이 일어났는지 조사하고, 이웃한 단층들이 최대 몇개까지 연쇄적으로 움직여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살펴보는 부분도 요구된다.
7400km 떨어진 곳에서도 지하수 수위 변화
우리나라에서 7400km 떨어진 곳에서 발생한 이번 지진이 문경, 강릉의 지하수 수위 변화에도 영향을 줬다는 점에서 앞으로 강력한 지진이 발생하면 지하수 피해 가능성도 제기된다. 지하수를 식수로 쓰고, 방사성폐기물을 지하에 저장한다는 점에서 관련 영향도 평가해봐야 한다는 것이다.
지질자원연 분석 결과에 따르면 튀르키예에서 규모 7.8 지진이 발생한 직후 일시적이지만 문경 지하수 관측정의 수위가 7cm, 강릉 지하수 관측정 수위가 3cm 올라갔다. 규모 7.5 지진에는 문경 지하수 수위가 3cm 내려갔다. 이러한 수위 변화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이웃나라에서 강력한 지진이 발생하면 우리나라 지하수 수위 변화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뜻한다.
이수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사는 “지진파가 우리나라까지 도달하면서 진동이 발생해 수량 문제, 수질문제, 오염물 거동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며 “실제 일본, 대만, 미국, 이탈리아 등에서는 피해 사례도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발생하는 강진에 따른 지하수 자원 유입과 유출 문제의 심각성을 연구하고, 유류부지나 방사성폐기물 같은 국가 시설에서는 별도 감시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