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쏟아진 장맛비로 전국 곳곳에서 주택과 농경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피해가 잇따랐다. 열차와 항공기, 여객선 운항도 차질을 빚었다. 지역에 따라서는 인명피해도 발생했다. 여기에 설상가상 제7호 태풍 쁘라삐룬이 북상하며 남부 내륙으로 향하고 있어 비상이 걸렸다. 다행히 진로를 동쪽으로 틀면서 세력이 약해질 것이라고 하지만 제주도와 경남 해안을 중심으로 시간당 30㎜ 이상의 강한 비를 뿌릴 것이라고 하니 결코 마음을 놓을 수 없다.
올 여름철 장마와 태풍은 이제 시작이나 마찬가지다. 그런데도 벌써 피해가 작지 않으니 장마가 본격화하게 되면 더욱 큰 걱정이다. 정부와 지자체의 책임이 크다. 자연재해를 사람의 힘으로 막을 수는 없지만 대비만 잘 한다면 피해를 줄일 수는 있다. 예고된 물난리에도 재산과 인명 피해가 여전하니 당국의 풍수해 예방대책에 의구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절개지와 상습 침수지역 등 취약시설 보강과 예방 순찰활동 등의 대책이 허술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올 만하다.
평창동계올림픽 경기장인 정선 가리왕산의 알파인스키장 사태가 대표적이다. 지난 5월 집중호우에 경기장 주변 배수관이 막히면서 넘쳐난 물과 토사가 마을을 덮쳤다. 그러나 침사지 작업은 불과 열흘 전에야 시작됐다고 한다. 기초적인 안전시설 설치를 장마철이 되도록 방치한 셈이다. 정부와 지자체의 안전불감증을 탓하지 않을 수 없다. 뿐만이 아니다. 지난해 호우피해가 아직 복구되지 않아 2차 피해가 우려되는 곳이 전국에 수두룩하다고 한다. 충북만 해도 130여 곳에 이른다고 하니 지방정부 교체기에 재난 대비를 소홀히 했던 것 아닌지 묻고자 한다.
천재(天災)도 반복되면 인재(人災)나 다름없다. 사전에 철저히 대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자연재해는 막대한 재산손실뿐 아니라 인명피해로 이어지기 마련이다. 중앙정부는 물론 지자체가 앞장서 예방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행정의 최우선 목표를 주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에 두고 태풍 취약지구 등 곳곳에 도사리고 있는 위험 요인을 줄여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인기에 영합해 전시성 사업에 눈 돌릴 게 아니라 주민의 삶과 직결된 생활밀착형 행정에 힘쓰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