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기후 변화로 해수면의 온도와 어족 분포 등이 바뀌면서 동해안에서도 대형 상어가 출몰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기존 서해안 인근에서 나타나던 상어들이 동해안으로 옮겨가며 정부는 어업인과 바다 관광객의 안전을 위해 상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할 예정이다.
| 삼척에서 잡힌 백상아리 (사진=동해해양경찰서 제공) |
|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동해안에서 잡히거나 발견된 대형 상어류 관련 신고 건수는 29건으로, 2022년 1건에서 대폭 늘어났다. 특히 29건 중 14건의 상어는 공격성과 날카로운 이빨을 갖고 있어 인간에게 위협이 될 수 있는 ‘포악 상어류’에 해당했다.
포악 상어류는 흔히 ‘식인상어’로 표현돼왔지만 상어를 연구하는 학계 등에서는 식인상어가 아닌 포악 상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새끼를 낳기 직전이나 낳은 직후 등 일반적인 경우보다 성질이 포악해지는 개체들이 인간을 공격할 수 있지만, 이들의 주식이 인간이 아닌데다가 상어에 대한 무분별한 공포를 조장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일부 상어류는 국제적 멸종위기종인 만큼 생태계의 일원으로서 보호가 필요한 것도 현실이다.
| 경북 울진에서 발견된 청새리상어 (사진=국립수산과학원) |
|
국내에서 상어로 인한 인명 피해는 사망자 6명을 포함해 총 7건이다. 1959년 7월 충남 보련시 대천해수욕장에서 수영하던 대학생이 사망한 것을 시작으로, 충남 보령시와 전북 군산시 등에서 해녀와 어부 등이 상어에 의해 목숨을 잃었다. 다만 상어로 인한 사상 사고는 1996년 접수된 것이 마지막으로, 2000년대에 들어서는 2005년 태안군 앞바다에서 해녀가 다리를 물린 사고 외에 사망한 사례가 접수되지는 않았다.
작년 발간된 ‘한국 연근해 상어 분류도감’에 따르면 현재까지 한반도 바다에서 직접 목격된 상어류는 총 49종이다. 이중 영화 ‘죠스’에 등장하는 백상아리를 포함, 청상아리와 무태상어, 뱀상어 등 13종은 인간을 공격하는 ’포악 상어’로 분류된다. 상어는 주로 따뜻한 물에서 서식하는 난류성인데, 기후 변화로 인해 수온이 올라가며 출몰 시기도 사계절로 확대되고 있다. 출몰하는 지역 역시 서해와 남해에서 동해안으로도 늘어나는 추세다.
실제로 국립수산과학원은 해수면 상승을 상어 출몰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지목됐다. 인공위성이 관측한 지난해 동해의 연평균 표층수온은 지난 20년 대비 13도나 높아졌다. 이로 인해 상어의 먹이가 되는 고등어와 방어 등이 동해로 유입되면서 이를 따라온 상어의 수도 덩달아 늘어나게 됐다는 것이다.
이처럼 상어가 늘어나고 있지만 국내 상어류에 대한 생태 정보는 부족한 상황이다. 수과원 산하에 ‘고래연구소’가 있지만, 별도로 상어에 대한 연구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에 수과원은 대형 상어류 현황과 먹이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상어 연구를 ‘현안대응’ 과제로 삼아 긴급 예산을 편성한다는 계획이다.
최용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기후변화로 인해 수온이 상승하며 대형 상어류의 출현 가능성은 점점 높아질 것”이라며 “증가 원인과 행동 습성 등을 연구해 국민들에게 제공, 안전한 해양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