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긴 사람 살 곳이 아녜요" 반지하는 습하고 옥탑은 불볕

옥탑·지하 밀집한 이문동·삼양동
옥탑방 벽면엔 단열 필름 대신 뽁뽁이로
반지하 모녀는 아침저녁 찬물 샤워로 버텨
주거개선 위한 근본적 대책 필요
  • 등록 2023-08-09 오전 6:35:00

    수정 2023-08-09 오전 10:05:37

[이데일리 이유림 이영민 기자] 서울 동대문구 이문동 옥탑방에 거주하는 김종화(68)씨는 벽면에 뽁뽁이를 덕지덕지 붙여놨다. 단열 필름은 가격이 비싸 엄두를 못 내고, 그 대신 찾아낸 고육지책이다. 김씨는 사업이 망해 이곳에 왔다면서도 사람 살 곳은 안 된다며 고개를 저었다.

서울 동대문구 이문동 반지하에 거주하는 몽골인 우레(42)씨의 내년 목표는 ‘지상’으로 올라가는 것이다. 고등학생인 딸에게 햇볕이 드는 방을 마련해주고 싶어서다. 모녀는 덥고 습할 때마다 아침저녁 찬물 샤워로 버틴다고 했다.

서울 동대문구 이문동 반지하에 거주하는 몽골인 우레(42)씨(왼쪽)와 같은 동네 옥탑방에 거주하는 김종화(68)씨(사진=이영민 기자)
폭염에 속수무책 옥탑방, 한여름에도 보일러 트는 반지하

낮 최고기온이 37도까지 오른 8일. 서울 동대문구 이문동과 강북구 삼양동 일대에는 반지하와 옥탑방이 빽빽하게 밀집했다. 주택과 주택 사이의 거리는 한두 뼘밖에 되지 않았다. 여름철 폭우와 폭염이 찾아오면서 이곳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졌다. 지하는 습하고 옥상은 불볕, 오죽하면 ‘지옥’(반지하·옥탑방의 줄임말)이란 멸칭이 붙을 정도다.

옥탑방은 하루 종일 직사광선이 그대로 내리쬐기 때문에 폭염에 속수무책이다. 30년 이상 된 붉은 벽돌 건물은 단열 기능도 없고, 뜨겁게 달궈진 우레탄 바닥은 열기를 더한다. 삼양동 옥탑방과 그 아래층에 세 들어 산다는 김모(59)씨는 “옥탑방은 쪄 죽겠다 싶어 지금은 비워둔 상태”라며 “옆집 옥탑방 할머니는 참을만하다는데 그건 뭘 모르시고 하시는 이야기”라고 혀를 내둘렀다. 이문동 옥탑방에서 동생과 12년째 거주하는 한모(50)씨는 “너무 더워서 대문을 열어 놓을 때가 많다”며 “선풍기는 하루에 17시간 이상 켜놓는데 그마저도 뜨거운 바람이 나온다”고 토로했다. 이문동에서 부동산을 하는 정모(67)씨는 “예전에는 학생들이 많았는데 요즘은 살기가 힘들고 돈도 드니까 기숙사로 많이 빠졌다”며 “외국인 근로자 여럿이 한 방을 빌려서 같이 사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반지하에 사는 이들은 폭염에 더해 습기와도 싸워야 한다. 몽골인 우레씨는 반지하 특유의 꿉꿉한 냄새가 견디기 힘들다고 토로했다. 그는 “하수구에서 썩은 내가 올라와 창문을 열 수가 없다”며 “가끔 창문을 열어도 고양이가 오줌을 쌀 수 있어 커튼을 쳐둬야 한다”고 말했다. 태풍이 오면 반지하에는 말 그대로 ‘지옥문’이 열린다. 폭우가 쏟아질 땐 빗물이 집안으로 범람할까 걱정이고, 비가 갠 뒤에는 습기와 사투를 벌여야 한다. 당장 9일부터 제6호 태풍 ‘카눈’의 영향으로 태풍 예비특보가 내려졌다. 삼양동 삼일경로당에서 만난 박모(89)씨는 이럴 때일수록 보일러를 틀어놓는다고 귀띔했다. 그러면 “장판이 바싹 마른다”는 것이다. 벌레가 꼬이는 걸 막기 위해 음식을 먹은 뒤 바로 치우는 것도 반지하 15년 거주 경력에서 나오는 노하우다.

반지하와 옥탑방이 밀집한 서울 동대문구 이문동 전경(사진=이영민 기자)
정부·지자체 지원에도 사각지대 여전…전문가 “주거기본선 확립”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국 2092만6710가구 가운데 반지하 거주는 32만7320가구, 옥탑방 거주는 6만5603가구다. 반지하와 옥탑방은 주거취약가구로 분류되지만 제대로 된 지원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자체가 계절별 에너지바우처, 전기요금 인하 등 임시방편 대책을 내놓을 뿐이다.

서울시의 경우 지난 6월 불법건축물 기준이 해소된 옥탑방에 최대 2000만원(공사비의 80% 이내)의 집수리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을 실시했지만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구역으로 지정·고시된 지역 △현장점검 시 건축물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건축물 등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이렇게 제외된 대상은 다른 곳보다 열악하고 노후했을 가능성이 크지만 ‘사각지대’로 남게 됐다.

이데일리가 찾은 삼양동과 이문동 일대가 바로 이 같은 사각지대다. 옥탑방에 뽁뽁이를 붙였던 김씨는 “선거 때마다 정치인들이 역세권·재개발 지역을 도와주겠다고 그러더니 이후엔 가타부타 말이 없어 이곳 사람들 불만이 많다”고 말했다. 정재훈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주거기본선의 체계적 확립 등을 통해 열악한 환경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 스냅타임
    2024년 11월 29일 오늘의 운세
  • 스냅타임
    11월 28일 오늘의 운세
  • 스냅타임
    2024년 11월 27일 오늘의 운세
  • 스냅타임
    11월 26일 오늘의 운세
  • 스냅타임
    2024년 11월 25일 오늘의 운세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청룡 여신들
  • 긴밀하게
  • "으아악!"
  • 이즈나, 혼신의 무대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