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쌍수 경찰청공무원노조위원장은 ‘경찰국 폐지’ 운동의 최전선에 서 있다. 노조엔 경찰청에서 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 3500여명이 속해 있다. 경찰국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조직은 아니지만, 경찰청의 구성원이자 한 시민·노동자로서 문제를 바라보고 있단 게 신 위원장의 설명이다. 그는 특히 경찰국 신설의 ‘나비효과’가 시민·노동자들의 집회·시위에 대한 강경대응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
행안부의 경찰국 신설 추진 때부터 반대 입장을 견지해온 것도 이러한 인식에서다. 신 위원장은 “경찰조직이 정부 기조를 따라가며 시민을 강제진압하는 등 무력을 행사할 가능성을 우려했다”며 “일선 경찰들도 치안본부 시절로 돌아가 시키는대로 밖에 할 수 없는 상황이 올까봐 겁을 먹고 경찰국에 반대했던 것”이라고 했다.
신 위원장은 경찰국 출범을 막진 못했지만 저지 투쟁에 성과는 있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처음 경찰국 논의 당시엔 감찰·감사에 대한 내용도 있었지만 결국 인사 부분에만 관여하기로 후퇴했다”며 “내부에서 아무런 의견도 내지 않았다면 정부가 원하는 대로 흘러갔을 것”이라고 했다.
‘경란’까지 번졌던 경찰국 논란은 일단 수그러든 분위기다. 신 위원장은 “김순호 국장 문제가 걸려 있고 당장은 인사가 없어 (경찰국이) 조심하지 않을까 싶다”며 “예컨대 노동계 집회에 이 장관이 경찰국을 통해 ‘왜 두고만 있냐’하고 부당지시라도 한 게 알려진다면 불이 다시 붙을 것”이라고 봤다. 그러면서 내부의 지속적인 견제·감시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경찰국 폐지 공동대책본부(공대본)’ 공동대표인 신 위원장은 경찰권력의 통제를 위해선 경찰국 아닌 국가경찰위원회의 위상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그는 “일각에선 행안부 장관을 탄핵해야 한다고 하지만 (탄핵은) 개인에게 초점이 맞춰진 사안이라 경찰국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순 없다”며 “국가경찰위원회와 자치경찰위원회 등 현재 운영되고 있는 조직들의 위상을 강화하면서 결국엔 경찰조직을 견제하기 위해 만들어진 경찰국의 역할을 무력화시켜야 한다. 폐지될 때까지 싸울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