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기획재정부의 ‘2022~2026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내년 예산안 총지출 639조원 중 53.5%(341조8000억원)는 의무지출이다. 의무지출은 국민연금·공무원연금·사학연금·군인연금 등 4대 공적연금과 건강보험, 지방교부세, 지방교육재정교부금 등 법에 지급 의무가 명시돼있어 정부가 임의로 줄일 수 없는 예산이다. 예산에서 의무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질수록 정부 재량으로 정책 의지를 발휘할 수 있는 재량지출은 줄어들게 마련이다.
내년 의무지출 341조8000억원 중 대부분(91.1%)을 차지하는 것은 복지분야 법정지출과 교부세·교부금 등 지방이전재원이다. 복지분야 법정지출은 154조6000억원으로 의무지출의 45.2%에 달한다. 이 가운데 국민연금(36조2000억원)·공무원연금(22조7000억원)·사학연금(4조9000억원)·군인연금(3조8000억원) 등 4대 연금 지출이 67조7000억원으로 가장 많다. 또 △구직급여(11조2000억원) 등 고용·노동부문 지출이 22조1000억원 △기초연금(18조5000억원) 등 노인 부문 지출이 20조8000억원이다. 생계급여를 비롯한 기초생활보장제도 지출은 17조9000억원, 건강보험 지출은 12조원이다.
지방이전재원은 156조9000억원으로, 내년 의무지출에서 45.9%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방교부세 75조3000억원, 지방교육재정교부금 77조3000억원이 포함된 액수다.
예산내 의무지출 비중은 내년 53.5%를 시작으로 △2024년 54.0% △2025년 54.7% △2026년 55.6%로 해마다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정부는 2020∼2060년 장기재정전망에서 ‘최악 시나리오’ 땐 2060년 의무지출 비중이 80%에 육박할 것으로 봤다.
의무 지출 확대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정부는 재정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재정준칙 법제화, 교육교부금 개편 등 제도 개혁을 통한 지출 구조조정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한편 정부는 ‘2022~2026 국가재정운용계획’에서 5년간 총지출 평균 증가율로 4.6%를 제시했다. 지난해 문재인 정부가 제시했던 2021~2025년 총지출 증가율(5.5%)과 비교하면 0.9%포인트나 낮은 수준이다. 재정운용 기조를 확장에서 건전으로 전환하려는 의지를 담은 것이다. 정부는 총지출 증가폭을 내년 5.2%에서 △2024년 4.8% △2025년 4.4% △2026년 4.2% 등으로 매년 축소해간다는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