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자본시장이 완전히 개방되지 않았던 1990년대를 겪었던 국민들은 행정부가 주가지수가 대폭 하락하는 것을 막거나 심지어 지나치게 오르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소위 증시안정대책이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방식의 주식시장 개입에 나섰다는 사실을 기억할 것이다. 당시 주식시장은 중앙은행의 발권력 동원을 포함한 수차례의 증권시장 대책에도 불구하고 깊고 긴 침체기를 겪었다. 우리나라 주식시장 역사에서 빅뱅이라 할 수 있는 1987년 폭발적인 호황이후 주식 과잉공급 문제로 1989년부터 급격히 하락기에 접어든 결과다. 1993년 새 정부 출범 이후 빠른 회복세를 보이면서 오히려 지수상승 억제를 위한 안정정책이 시행되기도 했으나 잠깐이었을 뿐 전체적으로는 기업들의 국제경쟁력 저하에 따른 성장 둔화로 1997년 외환위기때까지 또다시 긴 침체기를 겪어야 했다.
주식시장 안정대책의 수단은 다양했다. 경미한 것으로는 증권거래 수수료 및 증거금 인하 또는 증권 거래세 인하와 같은 것이 있었고 고강도 처방으로는 증권시장 안정기금의 운영이나 기관투자자와 금융회사의 주식 순매수를 직접적으로 권고하는 방식이 있었다. 외국인 투자 허용 폭 확대도 자주 활용하는 카드였다.
국민으로부터 선거를 통해 공직에 취임한 이들이 또는 자본시장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이들을 통해 보다 적극적인 자본시장 개혁이 이뤄진당면 관료들의 손에만 맡길때보다 더욱 과감한 과감한 개혁조치가 가능해지고 궁극적으로 금융 선진화도 앞당길 수 있다. 그러나 1990년대처럼 그 도가 지나치면 어떻게 될까.
선거를 앞둔 정치인들은 여전히 눈앞의 단기적인 표를 위해 인기영합적 공약에 몰두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자본시장은 1990년대 증권시장 안정대책이 통용되던 시대를 이미 졸업한 지 오래다. 앞으로 치열한 경쟁을 앞둔 정치인들은 단기간의 지수흐름에는 불가근 불가원의 원칙을 지키며 자본시장의 근간을 흔드는 정책은 지양했으면 한다. 여기에 배당과 채권 이자소득과세에 대한 글로벌 기준채택, 새로운 금융투자 사업자의 허용, 자본시장 운영기관의 자율운영 등 자본시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만한 공약들을 제시해주었으면 한다. 자본시장이 한단계 업그레이드되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