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공인중개업소 대표는 “단지별로 묶어서 운영하는 ‘마이스파이더’나 ‘텐’ 등의 정보망에 접속하지 못하면 영업을 할 수가 없다”며 “우수활동중개사 제도가 매물의 공신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당장 영업에 타격이 커 별 마크 철회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허위매물 근절이 어려운 이유 중 하나로 공인중개사 간 공고한 카르텔이 꼽히기도 한다. 일부 공인중개사들이 허위매물이나 미끼매물을 눈감아주는 선을 넘어 담합을 통해 가격 흐름을 주도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선의의 피해자가 생긴다는 지적도 나온다.
송파구 한 공인중개사는 “중개업은 정보가 핵심인데 너무 정확한 정보를 부동산정보업체에 올리면 중개사 모두 공멸할 것이란 얘기도 심심치 않게 한다”며 “A부동산에서 매물을 올리면 B부동산에서 같은 매물을 4000만원에서 5000만원 낮은 가격에 올리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묵인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네이버의 우수활동중개사 제도를 둘러싸고 네이버 측과 공인중개업계가 마찰을 빚으면서 이같은 카르텔은 더 공고해졌다. 이 제도는 진성매물을 많이 올리고 거래 완료 처리를 활발하게 한 중개사에게는 우수중개업소임을 알리는 마크를 붙여주고 검색 시 상위에 노출되는 혜택을 제공하는 제도다. 네이버가 부동산 매물 정보 제공의 절반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파급력이 컸다.
네이버 관계자는 “방치매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민 끝에 도입한 것이 바로 우수활동중개사 서비스”라며 “네이버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대가로 건당 500원을 고정으로 받기 때문에 광고료를 올리기 위한 꼼수라는 것은 오해”라고 말했다. 지난 2013년 네이버는 부동산 서비스가 골목상권 침해 논란을 빚자 공인중개사로부터 직접 매물정보를 받는 사업에서 철수하고 부동산114 등 여타 부동산정보회사의 매물을 받아 유통만 하는 유통플랫폼으로 바꿨다. 공인중개사가 지불하는 수수료 중 네이버는 500원만 받고 나머지는 부동산정보회사가 가져가는 시스템이다.
결국 네이버는 마크를 부여하는 대신 새해 들어 거래완료 처리 개수와 현장확인 개수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시스템을 바꿨다. 이후 등록 매물은 어느 정도 회복됐다.
공인중개사협회 관계자는 “시스템이 바뀌었어도 현장확인 개수를 늘리려면 수수료를 내고 검증을 거쳐야 하는데 그만큼 지출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며 “세종시를 비롯해 부산, 경남 창원 등에서 매물을 ‘한방’에만 올리자는 분위기가 조성돼 이제는 전반으로 확산하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중개사들이 네이버의 우수활동중개사 서비스에 집단 반발한 것도 기득권 지키기의 일환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서초구 한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비회원이라는 이유만으로 지역에서 따돌림을 당하고 있다”며 “결국은 그 지역에서 오랫동안 영업한 이들끼리 ‘그들만의 리그’를 지키겠다는 것 아니겠나”고 토로했다.
일부 공인중개사들은 공정한 경쟁과 소비자 보호를 위해서 이같은 제도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별 마크를 달았다가 지역 회원들의 항의로 반납한 한 공인중개사는 “요새 대부분 포털 사이트에서 먼저 확인하고 전화하는데 공신력을 높이려면 이런 제도가 정착돼야 한다”며 “그래야 공인중개사들끼리의 담합도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