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빚투(빚내서 투자) 청년구제 대책이 일부 상실감을 주거나 투기를 부추기지 않겠느냐’는 질문에 “금융리스크는 비금융 실물분야보다 확산 속도가 엄청나게 빠르다”며 선제적 리스크 관리를 강조했다.
그러면서 “완전히 부실화돼서 정부가 뒷수습하기보다는 선제적으로 적기 조치하는 게 국가 전체의 후생과 자산을 지키는데 긴요한 일이라고 저는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저신용 청년층의 고금리 채무 이자를 30~50% 한시 감면하는 것을 비롯한 청년층 채무조정 지원책을 발표했다.
변 전 실장은 참여정부 시절인 2006~2007년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낸 바 있다. 또 기획예산처 재정기획국장, 기획예산처 차관, 기획예산처 장관 등을 지낸 ‘경제통’이다.
그는 2017년 노동, 토지, 투자, 왕래와 관련한 정책 제안을 담은 저서 ‘경제철학의 전환’을 펴낸 바 있다.
예전과 달리 기자들의 질문을 많이 받지는 않았지만, 전 정권의 겨냥했던 이전 도어스테핑과 차별화하려는 노력도 엿보인다.
정치권에서도 도어스테핑을 일관되게 국민소통 창구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물론 언론과의 소통을 강화해가면서 정제된 언어를 써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따른다.
최근 대통령실 관계자 인사 논란 등에서 보듯,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발언은 지지율뿐만 아니라 국정 운영 신뢰도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현안에 대한 질의응답도 좋지만, 좀 더 다듬어진 소통의 장이 됐으면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먼저 그날그날 화두를 던지며 어젠다를 제시한 후 질의응답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며 “대통령의 현재 의중을 파악한 이후 현안 관련 질문은 3~4개 정도로 추려서 물어보는 등 도어스테핑도 체계적으로 시스템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