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재행 단장은 이데일리 인터뷰에서 “수소이기 때문에 석유나 가스보다 더 많이 폭발하는 게 아니다”며 “수소충전소는 수소폭탄이 아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월 산업융합규제특례심의위원회에서 ‘규제 샌드박스’ 1호로 현대차(005380)가 요청한 국회 등 서울시내 4곳의 수소충전소 설치를 허용했다. 문재인정부가 도입한 규제 샌드박스는 규제 면제·유예로 신제품 출시를 앞당기는 제도다. 국회 수소충전소는 이달 중에 완공된다.
수소충전소 설치를 놓고 안전성 우려도 있는 게 사실이다. 올해 들어 잇따라 사고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지난 5월 강원도 강릉과학단지에서 수소탱크 폭발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6월에는 노르웨이 산비카(Sandvika)에 위치한 수소충전소에서 사고가 발생해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스투어 포트빅(Sture Portvik) 오슬로시 이모빌리티(e-mobility) 담당 국장은 “이번 수소충전소 사고는 시스템 문제가 아니다”며 “관리 미흡으로 인한 사고일뿐 큰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참조 이데일리 7월22일자 <[르포]세계 놀라게 한 수소충전소 사고 현장 가보니..소풍 나온 시민들로 북적>)
신 단장도 “모든 에너지는 폭발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수소가 아니라 안전관리 문제를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강릉의 연구용 수소탱크와 달리 서울시내에 설치되는 수소충전소의 경우 용기 재질이 더 튼튼하고 안전성 테스트도 엄격하다”고 말했다.
신 단장은 “안전 관련 제도가 잘 마련돼도 운영하는 사람이 잘못하면 사고가 발생한다”며 “안전성의 핵심은 안전 관리에 좌우된다. 운영 주체가 자기 역할에 충실해 관리를 강화하는 게 안전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
|